한순간에
수잰 레드펀 지음, 김마림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신기했다.

온라인 서점에 버젓이 줄거리가 소개되어져 있었다.

목차도 신기했다.


감사의 말 이후에 (이야기가 끝나고_토론) 이란 장이 있다.

다른 소설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장인데 독서모임 발제용으로 사용하면 좋을 듯하다.

하지만 저렇게 질문들을 많이 뽑아 놔서 나에겐 오히려 방해가 되었다.

책을 잘못 읽은 것은 아닌지, 내가 느낀 감상 포인트가 엇나간 것은 아닌지 자기검열을 하게 만들었다.

11명이 타고 있던 캠핑카는 수사슴을 치지 않으려고 잭이 브레이크를 밟은 그 순간.

한순간에 모든 것이 뒤바뀌게 된다.

갑작스런 사고 속에서 보호자로서의 어른들은 날 것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생존본능의 발동!

자기 보호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본능.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했던가!

자신들이 믿었던 것과는 전혀 다르게 행동하게 하는 본능.

이기적 유전자의 발현일까?

살아남아야 한다는 본능으로 이성이 마비되는 시간.

트라우마!

살아남은 자들이 겪어내야할 살아남은 무게를 본인들은 스스로 이겨내야 한다.

어느 누구도 그 사고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없다.

각자 살아남은 자들의 몫이리라!

그래서 이 소설을 끌고 나가는 목소리는 핀의 영혼일 수 밖에 없다.

죽은 자는 말이 없고 살아 있는 사람은 각자가 아는 부분만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찰자 시점이 아니면 모든 사람들의 살아남은 무게감을 들여다 볼 수 없을테니!

산 자는 어떻게든 계속 살아가야 한다.

그 아픔 속에서 어떻게 빠져나갈 수 있을까?

한 번에 한 발자국씩,

올바른 방향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래도 계속 나아가야 한다.

현재는 과거가 되고,

어느샌가 당신은 완전히 다른 곳에 있게 될 것이다.

그곳이 지금보다 더 나은 곳이면 좋겠다.


카민스키 아줌마는 알았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