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레 망다랭 1~2 - 전2권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이송이 옮김 / 현암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몬 드 보부아르(1908년 1월 9일 ~ 1986년 4월 14일)

보부아르는 1908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이 공식 지정 지정된 해에 태어났다.

여성해방운동을 해야할 운명이었을까?


시몬 드 보부아르는 그냥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와 계약결혼을 한 사람으로만 알고 있었다.

둘은 대학교 입학때 사르트로가 수석으로, 보부아르가 차석으로 입학하게 된다.

보부아르도 사르트르 못지않게 뛰어난 사상가였고 작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고 한다.


제2차세계대전 종전 후에 파리를 배경으로 그때 당시에 함께 활동했던 지식인들의 생각과 행동들이 

소설 <레 망다랭>에 생생하게 버무려져 있어서 출간 당시에 화제를 불러 모았던 작품이라고 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났다.

파리를 점령하고 있던 공동의 적인 독일군이 사라진 후 격변의 시기에 지식인이라 불리던 사람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었을까?

종전 후 크리스마스 파티가 폴의 집에서 열린다. 

모두들 들뜬 마음으로 전쟁 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얘기한다.

죽은 자들은 죽은 자들일 뿐이고 축제의 밤이 끝나고 난 후 살아남은 자들은 계속 살아나가야 한다.

산 자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안은 사랑과 권태 사이를 오가고 있다. 사랑을 배제한 삶을 얘기할 순 없으리라!

전쟁 중에는 공동의 적이 있었기 때문에 연대하기가 쉬웠으나 

종전 후에는 각자의 이념과 사상을 찾게 되고 서로 다른 세상을 꿈꾸기 시작한다.


생존을 선택한 자들을 욕할 수 있을까?

이상적인 공산주의 이념으로 무장한 좌파주의자들에게 손가락질 할 수 있을까?


현재도 큰 사건이 터지고 나면 살아남은 자들의 죄책감은 항상 남아있다.

그들의 잘못이 아니어도 살아남은 자들이 짊어지고 가야할 평생의 짐이리라.


책을 읽어나가는 동안 그래, 이게 바로 프랑스문학이구나. '그래, 바로 이맛이야!'

전쟁을 사진으로만 보았던 요즘 젊은 세대들에게 이 소설을 강력히 추천한다.

종전 후 살아남은 자들이 겪었을 그 혼란과 갈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족 : 나딘을 보면 수전 손택이 생각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