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이빨 2
제이디 스미스 지음, 김은정 옮김 / 민음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세상에는 똑같은 사람은 없다. 쌍둥이마저도 비슷하지만 다르기 때문이다. 성격, 생각, 습관 그리고 눈으로 보이지 않는 내면까지 쌍둥이라고 해서 같을 리는 만무하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 속에서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면 종교, 태어난 도시, 이름, 인종 등으로 구분을 짓는다면 그들에게는 교집합 부분이 적용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이 세상에 단 한 사람만 존재하는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으로 편 가르기를 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외국은 사람의 피부색에 따라서 차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언론 매체를 통해서 듣고 봤던 기억이 난다. 단지 인종이 다르다는 이유로 말이다. 인종차별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책을 읽게 되었다. 책 제목은 「하얀 이빨」이었다. 제목이 특이하다는 생각과 함께 책 제목을 보면서 ‘흑인’이 생각이 났다. 그렇다고 흑인을 싫어한다는 것은 아니다. 흑인이 웃을 때 하얀 치아가 유난히 눈에 들어오기에 제목을 보면서 ‘흑인’이 생각난 것이다. 

 이 이야기는 두 가족과 2세대들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 배경은 영국 런던이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고 있던 런던의 멋들어진 곳이 아닌 런던의 빈민촌이 배경이다. 보기에도 더러워 보이는 정육점 앞에 차 한 대가 있다. 차 안에는 자살하기 위해 준비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가 바로 ‘아치 존슨’였다. ‘아치’는 아내에게 버림받고 자살을 시도하기 위해서 비둘기 똥으로 도배된 정육점 앞에 차를 주차 시키고 자살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살은 정육점 주인으로 말미암아 실패로 끝나고 만다. 자살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 ‘아치’는 거리를 배회하던 중 ‘세상의 끝’이라는 모임에 우연히 참가하게 되고 첫눈에 반한 ‘클라라’와 결혼까지 하게 된다. 그리고 ‘아치’의 친구 ‘사마드 미아 익발’은 아내 ‘알사드’와 ‘아치’의 동네로 이사를 온다. 그는 결혼은 했지만, 방글라데시에서 받은 고등교육은 쓸모없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인도 음식점에서 일하게 된다. 이 두 가족과 결혼은 했지만, 그리 넉넉한 생활을 하지 못하고 일을 하면서 전전긍긍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그들의 2세들과 함께 다문화적인 요소와 사회의 단면적인 것들을 보여주고 있기에 답답하면서도 안타까운 느낌을 안겨주었다. 

 영국 런던에 넘쳐나는 백인 중에서 검은 피부색을 가진 두 가족은 힘겹게 살아간다. 즉, 다양한 인종이 사는 런던에서 피부색이 다른 그들은 그곳에서 뿌리를 내리며 살아간다. 이것은 치아가 잇몸을 뚫고 올라오는 아픔처럼 넘쳐나는 백인 사이에서 두 가족의 2세들이 백인들과 같이 살아가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백인들 사이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두 가족과 2세들을 보면서 다문화 사회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다른 인종들 사이에서 겪는 아픔과 고통 그리고 그들의 내면적인 갈등과 가족 간의 갈등을 통해서 다문화 사회 형성의 다른 이면을 비추어보며 생각과 느낌이 든 책이었다. 우리나라도 책에서처럼 다른 인종이 살고 있기에 이민자들과 이주해온 사람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게 해준 책이었기에 이민을 통한 그들의 삶과 모습을 읽으면서 아픔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