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의 눈물 - 사라지는 얼음왕국의 비밀
조준묵 프로듀서 외 지음, 박은영 글, 노경희 스토리 / MBC C&I(MBC프로덕션)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북극의 눈물>을 처음 알게 된 건, TV매체를 통해서 였다. 특집으로 방송하고 있었고, 난 그것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하지만, 시간대가 맞지 않아서 고작 1부만 보고 끝까지 보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한 채 하루하루를 보내던 중, 반가운 책을 보게 되었다. 바로 TV에서 방영했던 <북극의 눈물>이 책으로 출간이 된 것이었다. 너무나도 보고 싶은 마음에, 사실 뒷 이야기들이 더 궁금해서 단숨에 책을 펼쳐들고 읽어내려가기 시작했다. 

 이 책의 표지를 보면, 북극곰이 표지를 장식하고 있다. 사실 ‘북극의 눈물’이라고 해서 북극의 환경의 변화로 인해서 눈물을 흘릴 것이라는 예상을 했지만, 그것 뿐만이 아닌 다소 충격적인 내용들을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더욱 더 애착을 가지고 읽어내려 갔는지도 모르겠다. 

 현재 전 세계는 지구의 기후 이상변화로 인해서 수많은 영향과 그에 따라 환경이 많이 변해 왔다. 피라미드처럼 혹은 먹이 사슬처럼 이어져 있는 생태계가 무너져 버린 것이다. 약간의 이기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사람만 잘 살면 되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 이 생각은 바꾸어 말하면 무한 이기주의 적인 생각과 동시에 ‘나만 잘 살면 된다.’ 라는 의미로 해석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안타까움을 이루 감출 수 없게 만드는 책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들의 북극에서 보낸 300일 간의 기록을 통해서 북극의 모습들을 알게 되었다. 

 이누이트(Innuit) 사냥꾼들의 이동 수단은 썰매개가 이끄는 썰매를 통해서 이동을 한다. 이누이트들에게는 썰매개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며, 썰매개 역시 얼음과 빙판위를 내달리기 때문에 이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이다. 썰매개는 ‘시베리언 허스키’, ‘맬러뮤트’ 등 추운 지방에 강한 개들이어야 한다. 

 이누이트들은 사냥을 통해서 얻은 고기들을 썰매개들에 제일 먼저 준다. 왜냐면 그들에게 있어서 썰매개는 생명과도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북극의 봄에 이누이트들은 어김없이 사냥을 떠난다. 그리고 북극곰 또한 활동을 시작한다. 사냥을 하기 위해 썰매개가 끄는 썰매를 타고 달리다 보면 가끔 얼음 위가 갈라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크랙(Crack)’이라고 한다. 즉, 빙하가 갈라진 틈새를 일컫는다. 이러한 크랙은 북극이 점차 따뜻해지면서 그 현상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크랙으로 인한 사고가 생기기도 한다. 이를테면, 썰매를 끄는 썰매개가 크랙 사이로 빠져버리는 것이다. 크랙 아래는 모두 물인데, 썰매개가 크랙 사이로 빠져버리게 되면 이누이트들에게도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냥꾼들은 ‘일각고래’를 사냥하기 위해 보트를 타고 조심스레 접근을 한다. 일각고래는 ‘바다의 유니콘’이라 불리기도 한다. 겨우 사냥에 성공하여 일각고래의 뿔을 자르고, 일각고래의 고기로 배를 채운다. 그리고 썰매개들에게도 주는 것을 잊지 않는다. 고래 가죽 고기를 ‘마딱(muktuk)’이라고 한다. 일년 내내 추운 북극의 날씨는 고기가 잘 썩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예로부터 북극의 이누이트는 날고기를 먹는 음식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사냥을 하러 나가서 허탕을 치는 경우, 썰매개에게 줄 먹이가 없게 되는 것이다. 사료를 주긴 하지만 유럽에서 수입해 오는 개 사료는 가난한 이누이트 사냥꾼이 사기에는 값이 비싸서 그러지도 못하는 형편이라고 한다. 

 북극곰이 제일 좋아하는 먹이는 바다표범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사냥이 잘 되지 않아서 허기를 달랠 길이 없다고 한다. 거기다 북극의 얼음이 지구 온난화로 점차 녹고 있어서 식물들이 자라나고 있다. 그만큼 북극이 따뜻해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래서 북극곰은 먹이가 없어 풀을 뜯어서 배를 채우기도 한다. 어미를 졸졸 따라다니는 새끼곰들은 배가 고파서 어미의 젖을 먹는데 어미가 배를 채우지 못해 젖이 안나와 새끼곰들도 함께 풀을 뜯기도 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제일 먼저 영향을 받는 것은 생태계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추운 지방에 살아야 할 동물들이 점차 사라져서 생태계의 비율이 차츰 흐트러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했다. 그리고 그로 인해 북극곰에게 먹이감도 없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점차 확대되면 나중에 사람들에게도 크나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러한 영향이 미치는 날이 머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먹이감이 없어 살이 쏙 빠진 어미곰을 보며 눈시울이 붉어졌다. 새끼들에게 젖 조차 줄 수 없는 어미의 심정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내가 남달리 동물을 사랑해서 일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서 이따금씩 눈물이 흘렀고, 마음이 아팠다. 북극곰에게 있어서 가장 큰 적은 사람이었다. 북극곰의 가죽이 인기를 끌자 사냥하려는 사람들은 넘쳐났고, 알래스카에서는 멸종이 되어 버렸다. 지금은 미국, 러시아, 캐나다, 덴마크 같은 북극 영토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은 북극곰 사냥 금지법을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알고 보면 사람이 제일 잔인하고 무서운 존재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부분에서 새끼들을 위해 몇 달을 굶은 어미곰이 젖을 주는 모습이 너무나 슬펐다. 아무것도 모르고 천진난만하게 장난치고 있는 새끼곰들은 어미가 죽음을 맞이하게 되면 과연 어떻게 될까. 라는 최악의 상황이 떠올랐다. 

 ‘지구 온난화’라고 말만 하지 말고, 여기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고, 북극에서는 차츰 얼음이 녹아 눈물을 흘리고 있지만,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온난화 때문에 우리 사람들에게도 크나큰 영향과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것을 알았줬으면 좋겠다. 이것은 다른 나라 일도 아니고, 우리 나라도 아닌, 바로 전 세계의 일이 아닐까. 하고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