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
전찬일 외 지음 / 작가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충매체가 나날이 발전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영화의 대중화도 옛날과 비교해 볼 때 무척이나 다양해지고, 장르와 관객들도 많이 늘어난 것이 현재에 와서는 영화를 보는데 있어서 더욱 더 크나큰 즐거움을 주는 것 같다. 영화를 보기 위해서 대형 스크린 앞에 앉아서 영화관에서 상영하는 영화를 볼 때 관객들과 함께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는 것들이 영화가 만들어 주는 또 다른 느낌과 재미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 본다. 

 또한, 시사회로 영화 출연진들도 만나볼 수 있으며, 그들과 함께 영화 관람을 하는 색다른 경험도 해볼 수 있는 기회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영화는 단지 영화가 아닌, 관객과 영화라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다. 

 이 책은 올 해와 작년에 흥행 했고, 인기를 누렸던 영화들의 소개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영화 제목을 보더라도 흥행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인기는 아직까지도 식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제목이 <200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라는 점에서 더욱 더 기대가 되는 책이었던 것 같다. 

 첫 장을 펼치며 나를 반갑게 맞이해 준 영화는 ‘영화는 영화다’이다. 이 영화는 배우 ‘소지섭, 강지환’으로인해서 더욱 더 화제가 된 것 같은 느낌도 없지 않아 들었던 영화였다. ‘영화는 영화다’의 줄거리를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어떠한 장면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촬영 기법 등을 이야기로 풀어나가고 있다. 첫 영화의 이야기를 읽고, 영화평론가 답다. 라는 생각 들었다. 그렇다 이 책은 대부분의 영화평론가들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들을 전달해 주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내가 몰랐던 것까지 알 수 있었고, 알고 지나간 느낌이라는 생각이 재미있게 읽어 내려갈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어서 다음 영화는 ‘과속 스캔들’이었다. 나는 이 영화를 보았기에 책에서 이렇게 접하게 되니, 그 반가움은 더할나위 없이 기뻤다. 특히나, 영화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전에 선정 이유가 참으로 마음에 와 닿았고, 잘 표현된 느낌이 들어서 나도 모르게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끄덕이며 읽어 내려갔던 기억이 난다. 

 그 외에도 ‘쌍화점’, ‘추격자’, ‘우리 생에 최고의 순간’ 등 흥행했던 영화들을 한 눈에 보는 것 같아서 또 다른 느낌이었다. 특히나, ‘쌍화점’에 대한 글을 읽고, 이렇게 해석이 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다. 영화를 보면서 홍림(조인성)과 왕(주진모)의 관계 그리고 왕후(송지효)의 복잡한 관계들이 눈으로 보여주기만 했던 그들의 관계를 이 책을 통해서 또 다른 해석을 하고 있음을 느꼈다. 그래서 더욱 더 재미있게 영화를 다시 한 번 보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외국 영화도 있었다. 그 중에서도 나에게 있어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 같다. 이 영화는 보고자 했지만, 결국 보지 못했던 영화라서 그런지 외국 영화편으로 넘어가자 마자 펼쳐 읽었던 부분이었다. 그래서 인지 추천위원의 선정 이유가 마음에 와 닿았던 것 같다. 

 모든 영화가 다 소중하고 어떠한 결말을 제시하든 그 영화가 주는 메시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단지 영화 이야기의 눈에 보이는 것만 보지 말았으면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는 어떤 메시지를 주고, 또 이 영화는 어떤 메시지를 가지고 있을지를 생각해 보면서 영화를 본다면 더욱 더 재미있게 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 본다. 그렇게다고 너무 메시지에 집중해서 보라는 말은 아니다. 어떤 영화가 누구에게 있어서는 단지 재미 그 자체로도 행복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에게 있어서 ‘과속 스캔들’이 재미와 감동, 그리고 커다란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