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되어버린 남자
알폰스 슈바이거르트 지음, 남문희 옮김, 무슨 그림 / 비채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영화를 보거나 소설을 읽을 때 마치 그 속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일들이 현실처럼 느껴지거나 다가올 것만 같은 생각을 들게 할 때가 있다. 마치, 생생하게 살아숨쉬는 것처럼 묘사한 것도 한 몫을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현실과 가깝게 느껴지는 상황이나 사건의 전개로 그런 느낌이 더 강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물론, 개인마다 다르며 개인차는 있겠지만 말이다. 

 얼마 전 읽었던 책이 생각난다. 그 책 역시 소설이었지만 현실처럼 가깝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번에 읽게 된 책 역시 그런 느낌을 다시 되살려주었다. 책 표지를 보면서 섬뜩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제목을 보고 ‘소설이니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 책이었다. 「책이 되어버린 남자」라는 제목의 책이었다. 이 제목을 처음 봤을 때 단지 책이 되어버린 남자 이야기로 생각했지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그리고 그 상황이나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서 읽으면서 이 소설이 실제라면 혹은 현실이라면 이라는 생각을 잠시나마 하게 되었다. 이야기는 첫장부터 빠져들게 만든다. 한 여성의 사망으로 장례식장이 첫 배경이었다. 그리고 여성의 사망이유는 헌책방에서 아무런 이유도 모른체 사망을 했다는 것이다. 이유야 어찌됐건, 그 여자는 헌책방에서 죽은 것이다. 그리고 또 한 남자가 등장한다. 그가 주인공이다. 이름은 ‘버블리’였고 책에서는 ‘버블리 씨’로 불린다. 그는 책을 사랑하고 수집하는 애서가다. 그런 그에게 사망원인을 알 수 없는 여자가 헌책방에서 죽기 전 어떤 책을 지목했기에 그 책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책이름은 ‘그 책(Das Buch)’이었다. ‘그 책’이라 불리는 책은 작은 크기에 무두질한 가죽의 느낌으로 만들어진 책이었다. 

 ‘버블리’ 씨는 그 책을 훔쳐서 집으로 가지고 온다. 그리고 한장 한장 읽으려고 하지만 활자가 눈에 들어오지 않을 뿐더러 무슨 내용의 이야기인지 모른다. 이상한 일이다. 그리고 심지어 활자가 다르게 변하기 시작한다. 마치 블랙홀처럼 빨려들게 하는 느낌이었다. 그렇게 ‘그 책’을 손에 넣은 뒤로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자신이 ‘그 책’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이야기는 점점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애서가였던 ‘버블리’ 씨에게 일어난 일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르겠다. 책을 수집하고 좋아했던 그가 ‘그 책’의 모습으로 변해버리고 희귀본의 책을 소장하던 그가 책을 모조리 처분하는 모습은 안타깝기만 했다. 그리고 책을 함부로 다루게 되면 ‘버블리’ 씨 자신이 ‘그 책’이기에 상처가 나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판타지적인 요소가 있긴 하지만 책을 좋아하는 입장으로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소름끼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자신이 책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하고 느끼게 해주었다. 그리고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는 ‘헌책방’이 배경이 되어 펼쳐지는 이야기라서 멀리했던 ‘헌책방’을 찾아보고 싶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책이 되어버린 남자」라는 작품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에게도 ‘그 책’이 있지 않을까? 라는 호기심에 ‘헌책방’을 찾아보게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