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비법과 명인의 술
조정형.조윤주 지음 / 다온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에게 있어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필요한 방법으로 술을 통해서 해소를 하는 사람이 많다. 물론 이 방법이 좋은지 나쁜지는 각자의 판단과 본인의 몫이 아닐까 한다. 과거를 돌이켜 봤을 때 고대부터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를 지나면서 현재를 살아가며 술의 역사에 대해서 깊이 있게 알지는 못한다. 술의 종류도 많지만 지난 과거에는 술을 직접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전통주라고 하는데 지금은 전통주 보다는 일반적인 술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전통주는 역사도 깃들어 있지만 국내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술을 일컫는데 전통주도 환경이나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서 조금씩 바뀌어지며 그에 따라 다양하게 맛의 깊이나 향도 변화되는 것 같다.


 술에 대해서 깊이 알지는 못하지만 전통주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막걸리다. 막걸리는 한국의 대표 술이기도 하지만 쌀과 누룩을 빚어 그대로 걸러 내어 만들기에 과거에 집에서 만들어 먹기도 했던 술이다. 우리나라는 민가에서 자유자재로 술을 만들어 제조하고 판매까지 허용했기에 술의 발달이 활발했지만 일본과 중국은 특권층에게서만 제조 되었기에 우리나라처럼 술의 발달이 활발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면서 막걸리, 탁주, 청주, 맥주가 등장했고 소주, 위스키, 과일주, 약초주, 매실주, 모과주, 홍주, 이강주 등 아주 다양한 술을 지금은 접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술 중에서 우리가 아는 고량주는 고량, 조, 수수 등의 원료를 누룩으로 발효시킨 후 증류한 술인데 날씨가 추운 북방에서 주로 마시는 술이지만 지금은 그 맛을 알고 찾는 사람도 많다. 술을 만들기 위해 쓰여진 여러 그릇도 있는데 삼국시대에는 토기가 주로 등장했고 토기로 술을 만들었다. 술을 빚는 도구는 종류도 많았고 다양했지만 무엇보다 저장용기가 제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술독과 주병, 그리고 목술통에 술을 저장했고 발효 시킨 후 마셨다. 「전통주 비법과 명인의 술」에서는 각 나라별로 대표하는 술에 대한 소개와 함께 전통주를 만드는 명인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다. 명인주라고 하여 25명의 명인과 술 이름도 함께 한 눈에 보기 쉽게 되어 있었다.


 안동소주, 구기자술, 산성막걸리, 오메기술, 연잎주, 금산인삼주 등 다양한 술의 소개와 함께 명인의 이야기도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 중에서 게룡백일주는 조선 시대 임금님께 진상하던 궁중술인데 깊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민속주이다. 이 술은 기회가 된다면 꼭 그 맛을 느껴보고 싶어진다. 이 술 역시 누룩이 핵심인데 그에 따른 비율과 숙성 기간을 통해서 깊이 있는 전통주가 만들어지기에 그 또한 계룡백일주가 탄생한 기술이기도 하다. 앞에서 언급한 연잎주는 사찰에서 빚은 술인데 차와 같다고 해서 곡차라 불리었다. 그 후로 명인이 주재하는 연잎주로 탄생했다. 이 책에서는 2종의 술이 소개되어 있지만 정작 마셔본 술은 몇 가지 안된다. 술 빚는 방법도 다양했고 들어가는 재료도 다양했지만 술을 빚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노력하는 명인의 모습이 대단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프랑스의 코냑이나 영국의 위스키도 유명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전통주의 종류도 다양하고 대표적인 술은 막걸리라는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술도 음식이기에 그에 따른 문화가 다를 수 밖에 없다. 음식은 즐겁게 먹어야 하는 것처럼 술 역시 그 문화나 마시는 방법에 따라 즐겁게 마실 수 있는 음식이기에 명인을 통해 알아가는 전통주의 이야기에 하나씩 찾아서 마셔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