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긍정 철학 - 선악을 뛰어넘는 강인한 삶
헨리 해블룩 엘리스 지음, 최선임 옮김 / 지식여행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자라, 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피곤했던 학창시절 자주 쓰던 유머 중에 하나로 기억되는 말이다. 일상에서 유머로나 익숙하기만 했던 니체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어보겠다고 구입한 건 졸업을 하고 10년이 지난 최근의 일이다. 그리고 그간 서양철학사를 몇 번은 읽은 듯하지만 정작 ‘신은 죽었다’의 주인공 니체에 대해서 아는 바가 거의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도 그에 관한 책을 조금씩 찾아 읽으면서였다.

 
 최근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고전읽기에 열풍이 더해지면서 철학과 철학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가는 것 같다. 인문학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고 상상력과 사유하는 능력을 배양하기에 철학자들의 철학을 배우는 것만큼 좋은 것도 없으리라 생각되지만 막상 대하면 정리하기 쉽지 않은 것이 철학분야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오래 전 읽던 딱딱한 철학서적들은 일단 제쳐두고 최근엔 쉽고 간단하게 정리한 책들을 찾아서 보는 편이다.
 
 최근 그런 관심을 반영하는 듯 철학에 관한 많은 책들을 새로이 만난다. 일단 책이 다룬 내용의 깊이를 떠나 접근하기 쉬울 거란 생각으로 철학서적을 손에 드는 것 자체에서부터 철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는 것 같다. 그래서 니체가 스스로 인류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했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기로 마음먹고 구입하게 된 계기도 니체에 대해 저술한 책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선악을 뛰어넘는 강인한 삶 니체의 긍정철학》은 이렇게 니체와 그의 저서에 관심이 생길 즈음 만난 책이다. 그간 내가 무심히 읽고 지났던 서양철학사 책을 다시 빼 들고 니체가 어떤 사람이었는가를 살펴보게 된 계기도 되었는데 이 책에서도 다루고 있지만 그의 성장과정이 그의 철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게 된 것만 해도 앞으로 그와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무척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은 그가 태어난 배경과 가족관계, 그리고 그의 성장에 영향을 준 가족적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그의 어린 시절을 다루면서 이 책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이 있다. 독실한 목사집안에서 태어난 니체는 5세가 되던 해 아버지를 잃었고 그 다음 해에 남동생마저 죽었다. 그래서 니체는 완고한 할머니와 고모들, 어머니와 여동생 등 여자들에게 둘러싸여 성장하게 된다. 아버지의 죽음 뒤 심해진 자식들에 대한 어머니의 집착뿐 아니라, 여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크고 작은 갈등은 니체를 힘들게 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니체는 가부장적인 남성상을 동경하게 되었고, 그의 사상에 나타나는 강인함, 힘 같은 남성다움에 대한 동경은 그런 불행했던 어린 시절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이 니체를 다룬 다른 책들과 다른 이유가 바로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한 시기 때문일 거란 생각을 했다. 저자는 1859년 태어나 니체와 동시대를 살았던 사람이다. 그래서 주로 니체의 여동생 엘리자베트가 쓴 『니체의 생애(Das Leben Friedrich Nietzsche’s)』와 다른 니체의 저서들의 내용을 인용하며 그와 그의 사상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저자도 책에서 밝혔지만 저자는 니체 사상의 본질이라 생각한 것을 기존 저술들을 통해 되짚어 보면서 논평은 거의 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저자가 언급한 니체 사상의 본질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스스로도 밝히고 있다.
 
 어쨌든 이 책을 통해 니체에 한 걸음 더 다가선 느낌이다. 지금 나의 철학적 사유능력으로 그의 사상을 논하기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피상적으로만 익숙하던 ‘신은 죽었다’의 니체를 조금씩 알아간다는 사실만으로도 만족스러운 일이다. 그의 작품을 읽기 전에 니체를 먼저 이해한다면 작품을 읽고 이해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한다. 그리고 스스로 자신의 책을 최고의 책이라 말하고 인류가 받은 가장 큰 선물이라고 했다던 괴짜 니체의“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그의 사상을 좀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