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정록 - 러시아와 싸운 조선군 사령관 신류가 남긴 병영 일기 샘깊은 오늘고전 7
이윤엽 그림, 유타루 글 / 알마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느낌이 사뭇 달랐던 책...

북정록...들어 본 적없던 글...읽어보지 못했던 글...

신류장군에 대해 궁금해졌다.

그는 인간미가 넘치는 사람이였던듯 싶다.

조국을 사랑하며 백성들의 아픔을 헤아릴 줄 알고 본인의 아픔은 아픔으로 표하지도 않고...

먼나라에 가서 강제로 전쟁을 치루어야했던 우리들의 병사들...

병영일기 생소할 수 밖에 없다. 병영일기를 읽은 적이 없다. 이렇게 만나니 새롭고 반가웠다.

350년전의 나선정벌의 현장 1658년 4월로 빠져들어가 보았다.

참으로 어이없는 출동이 아닐 수 없다.

청나라 지금도 중국하면 좀 쪼쟌하고 맺고 끝는거 불분명하고 이득이되면 뭐 앞,뒤 안가린다는 생각이 있었지만,

예나 지금이나 다를것이 없구나 생각들더군요.

사르후다는 전쟁을 제대로 치르지도 않고 재물에 눈이 멀어 일을 엉망으로 만들어버리고 우리나라의 군사들을 더욱

위험에 처하게 만들고 마는 어처구니 없는 사르후다는 병자호란 때 참전한 침략자이기도 하다.

사르후다는 야전 군인이었기에 딴 나라 군인을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 지 몰랐으며  인간적인 덕성도 매우 모자란

위인 찌지리다. 대국주의에 사로잡혀 조선군과 신류 장군을 함부로 대했다.

청나라와 러시아 싸움에 조선이 가운데 끼여서 우리나라 군사들을 많이 잃었고 죽은 군사들은 같은 고향사람끼리

묶어서 조선의 방식대로 땅을 파고 묻어주는 신류장군의 속깊음을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고향을 떠나온지 언 4~5개월 속에서 억울하고 분통터지는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였지만 더욱이 '이몽선'은 통역관으로써의 제 할 일을 다 못하고 조선인이면서 청나라의 간신배로써 충실했다고 할까

이몽선은 서울에 아버지와 동생까지 살고 있는 같은 조선인으로써 참으로 못 할 짓을했다.

조선인의 형편을 뻔히 알면서도 무시하고 더욱 어려움에 그냥 놔두고 뇌물이나 받아먹으면서 간신히 통역이나 해주고 이런 섞어빠진 외교관이 있다. 지금의 현실과 다른 바가 없는 듯 싶다. 정치인들이 예나 지금이나 조금도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10명의 정치인중에 1명이 물을 흐리면 9명이 같이 욕먹는 것과 같은 것이다.

신류장군은 신숭겸장군의 23대 후손이랍니다. 고려 태조 왕건이 나라를 세우는 데 크게 이바지하고 전쟁터에서 왕건을 대신해 목숨을 바쳤답니다. (신숭겸장군)

젊어서 학문을 닦아 문과에 여러 차례 응시했으나 번번이 떨어지자 무과로 뜻을 바꾸어 급제했답니다. 

'조선왕조실록'과'일월록'등 역사책에 "청백하고 근면하여 위엄과 덕망을 고루 갖추었으며, 장수로서 품격이 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답니다.

북정록에서의 신류 장군의 억울함과 분노 조국을 그리워하는 마음등등

잘 표현이 되어있으며 이렇게 북정록을 만나서 읽게 되어 기쁘다. 신류 장군에 대해서 더욱 궁금해졌으며

조선왕조실록과 일월록을 찾아서 읽어야겠다.

삽화도 다른 책들과는 많이 달랐고 목판화 있것같다.  그림도 딱딱한 느낌이고 글도 그다지 부드럽고 편안한 내용은 아니다. 전쟁에 나아가는 마음과 전쟁을 치뤘던 참담한 마음 고향으로 귀하하고 싶은 굴뚝같은 애절함이 표현된 책이였기에 안타까움이 간절해서 읽었었다. 해설글이 없었더라면 무슨 내용인지 좀 처럼 어려웠을 터이지만

해설은 조금 부드럽게 이끌어가려는 글귀가 눈에 들어오고 이 책을 펴낸이 "유타루"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모르고 지났을 병영일기 전쟁의 일부를 알려주어서 감사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