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내셔널의 밤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
박솔뫼 지음 / arte(아르테)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솔은 그제야 6을 그릴 수 있었다. 아주 정확한 곳에 6을 그릴 수 있었다. 한솔은 언제부터 보편시민에서 박탈당한 것인지 27번 창구의 직원에게까지 설명했다 창구를 오가며 스물일곱 명의 직원에게 서른네 번 정도 설명했다. 한솔의 인생에서 무언가 사건이 있었고 그 이후, 이전의 삶을 회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어떻게 보편시민에서 박탈당했는지 또한 배제라는 말을 어떻게 알고 있는지 반복해서 설명했다. 그러고 나서야 서류에 필요한 도장을 받을 수 있었다. 한솔은 그 서류로 보편시민 등록을 마치고 이제 프라하에 집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한솔은 프라하로 가기를 원했던 것이다. - p.55

이 소설은 작가 본인도 소설 속에 썼듯, 명백하게 카프카의 영향 아래 씌어진 소설이다.

사실 카프카 이후, 세계의 많은 작가들은 전부, 마치 거대 행성의 힘에 빨려 들어온 것처럼

카프카의 중력권 안에 좌표를 찍고 있다.

박솔뫼의 이 소설도 그런 위성소설 중 하나다.

그러니 이런 소설을 읽을 때마다 언제나 생각한다. '이런 책을 백 권 읽을 바에는 카프카의을 한 번 더 읽는 것이 낫지.'

레이먼드 카버를 흉내낸 미국소설 풍의 책을 읽고, 로베르토 볼라뇨를 흉내낸 남미소설 풍의 책을 읽고, 프란츠 카프카를 흉내낸 동유럽소설 풍의 책을 읽는 것은 힘빠지는 일이다. 그 돈과 시간과 체력으로 레이먼드 카버과 로베르토 볼라뇨와 프란츠 카프카를 그냥 오리진으로 읽는 것이 낫다.

_

'인터내셔널의 밤'은 여행기다.

두 인물 - 한솔과 나미는 부산으로 내려가는 기차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게 되고, 부산에서도 만남을 이어간다.

기차에서 만났던 그들은 부산 여객선 터미널에서 만나 일본으로 떠나는 배들을 응시하며 대화를 나눈다.

난데없는 만남과 어지러운 사유, 뭔가 비껴나가는 듯한 대화, 통합되지 않는 이야기들, 맥락 없는 돌아다님.

홍한솔 김영우 조유이 나미 신유미 등등 어떤 이름으로도 존재할 수 있는 어떤 사람들의 이야기다. 홍상수 영화 같다.

한솔은 아마도 성전환 수술을 받은 -M F의 기호 사이에서 흔들리는 존재 같고, 나미는 사이비 종교 교단에서 탈출해 나온 사람이다.

들은 육체-정신의 측면에서 '불안'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 불안은 부산이라는 낯선 도시에서 더욱 증폭되고 일본으로 건너가려는 생각 속에 더욱 적극적으로 '향유'된다. 이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불안은 도망쳐야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향유된다'.

존재의 근원적 불안을 소설 전체의 정조로 삼고 있는 책.

'나는 누구이고,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탐정' 이라는 은유로 드러내는 책.

그러나 불안에서 출발한 그 질문은 불안으로 수렴되지 않는다. 불안은 거기에 있고 그것은 우리의 새로운 흥밋거리다.

우울증과 불안증은 현대인의 새로운 쾌락이다.



_



작은 사이즈에 비해 책값이 비싸고 인쇄 상태가 나빴다. 비뚜름하게 인쇄가 되어 있어 읽기에 힘들었다. 독립출판 책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