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의 식탁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구조의 모순과 불합리에 대한 고발은 그 밑바닥에, 그로 인해 고통받는 인간에 대한 애정과 연민이 있어야 한다. 그 애정과 연민에 기반한 분노와 항거가 문학적 진술 내지는 고발로 이어지는 것인데, 이 책은 그러하지 못하다. 꿈미래실험공동주택이라는 저출산 대책이라는 소재는 신선했으나 그 제도의 폭력성을 '비판' '비난'도 아닌 '비아냥' 수준으로 건드리는 것에 그쳤으며, 무엇보다도 그 폭력적 제도에 억압당하고 마침내 항거하는 인간의 모습을 제대로 형상화하지도 못하였다. 오늘의 젊은 작가 시리즈의 한결같은 한계로, 사회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는 듯 하다가 결국엔 그 사회에 맞서지 않고 도망쳐버리는 주인공을 그리는데 그쳐, 인식의 주체와 저항의 주체로서의 '시민'을 그려내지 못하고 사회의 폭력에 무릎꿇는 나약한 '개인', 혹은 그 폭력적 현실에서 도망쳐버리는 회피적 '개인' 만을 제시하고 끝나버리는 것이다. ('한국이 싫어서', '82년생 김지영', '네 이웃의 식탁'

더군다나 이 소설이 불쾌한 것은, 나약하고 회피하는 개인을 그나마 연민어린 시선 또는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시선조차 보이지 않는다는 데 있다. 작가가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은 '혐오'에 가까웠고 그것은 몇몇 캐릭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아이를 키우며 살아가는 평범한 인간 전체에 대한 싸늘한 비웃음에 가까워 보였다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과 인간 혐오가 같이 터져나오는 소설이라는 것은 사실 변혁의 주체로서의 인간을 신뢰하지도 않고 따라서 우리 사회의 잘못이 시정되지도 개선되지도 않을 것이라는 허무주의적 체념과 비아냥의 표현일 뿐이다. 인간에 대한 신뢰와 애정이 없으면서 어떻게 인간을 위한 변화를 꿈꿀 수 있겠는가비판적인 시선과 메타적 우월감에 찬 비아냥의 시선을 구별하지 못하는 자들은 흔하고, 결국 아무 것도 안될 거야 니들은 그거 밖에 안되니까 하는 오만한 경멸감은 결국 그가 얼핏 비판하는 것 같은 구조적 폭력의 일부이며, 폭력을 재생산하는 기득권의 도구일 뿐이다. 여성-특히 기혼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의 폭력을 비판하는 것처럼 쓰고 있지만 결혼해서 애를 낳은 여자란 결국 무심하고 무감각하고 뻔뻔해질 수밖에 없으며 자기 아이 일에 대해서만 히스테리컬해지는 '동물적' 존재일 수밖에 없다고 반복해 진술함으로써 이 소설은 그 어떤 소설보다 앞장서서 여성 혐오, '맘충' 혐오에 일조하며, 인간끼리의 연대와 상호 부조란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죽거리면서 인간을 고립된 개인의 지옥으로 밀어넣고 사회의 확산되는 폭력과 모순을 방조한다. 쿨한 척 하는 허무주의, 비판을 가장한 혐오. 오늘도 민음사의 젊은 작가들은 내게 모욕감을 줬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