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언 直言 - 죽은 철학자들의 살아 있는 쓴소리
윌리엄 B. 어빈 지음, 박여진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직언의 사전적인 의미는 ‘옳고 그른 것에 대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기탄없이 말함’이다. 직언이라 함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바른 말을 하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직언이라는 말은 무색해졌다. 나부터도 듣기 좋은 말만 골라 듣고 싫은 소리를 하면 상대가 나를 시기 또는 오해를 한다고 스스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나는 책소개를 보면서 이 책이 진심으로 읽고 싶었던 것은 죽은 철학자들의 살아 있는 쓴소리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책표지에 있는 ‘당신은 결코 타협할 수 없는 인생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문구를 본 순간 내겐 어떤 원칙을 가지고 있는가? 어떤 원칙속에서도 결코 굽히지 않고 소신있게 직언을 할 수 있는 원칙이 있는가?를 생각하게 만들어 준 책이다.

 

이 책은 인간 욕망에 대해 파헤치며 미국 철학계의 주목을 모았던 미국라이트주립대학교의 윌리엄 B. 어빈 교수가 쓴 책이다. 스토아 철학을 통해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발견하라라고 직언을 해주는 책이다.

 

책은 자신을 스스로 통제하는 법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 준다. 스스로의 욕망과 과욕 그리고 내 삶의 기본에 충실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가치와 목표를 가지라고 말해준다. 스토아철학의 주된 스스로의 통제와 평정심을 가질 수 있는 근본적인 가르침을 현대인이 잘 알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예를 통해 쉽게 말해준다. 물론 스토아 철학이 말해주는 스스로의 통제는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이 책은 스스로의 통제를 통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그 근본적인 원인을 치유함으로써 또는 근본적인 원인을 잘라냄으로써 자신의 삶의 목표를 흔들리지 않고 소신있게 옳은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이성적인 자신의 통제법을 끊임 없이 말해 준다.

 

처음 철학적인 관점에서 모든 것을 말해주고 이끌어가 너무나 어렵지는 않을까라는 우려를 했지만 책은 좋은 예를 통해 철학을 조금 더 쉽게 풀어주고 있다. 순간의 쾌락을 위해서 내 삶을 대부분을 쾌락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며 보내지 말라고 말해준다. 뚜렷한 가치와 평소 해야할 일과 멀리해야 할 일을 구분짓고 신념과 가치를 가지고 인생을 살라고 말해주는 이 책은 독자에서 따끔한 직언을 해준다. 하지만 쓴약이 몸에 좋듯이 쓴소리가 우리의 인생에 좋은 약을 되어준다는 것을 잘 알기에 쓴소리고 웃으면서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