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말라 -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그래서 더 진실한 아프리카의 역사 이야기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 1
김명주 지음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대한민국 역사의 아픔은 대한민국의 사람들이 알 수 있는 애환이 있다. 외부에서 해석과 이해를 하지만 절대로 그 나라의 문제를 외부적인 요소로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민족의 역사와 발전은 그 민족의 아픔과 노력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는 것이다. 저자인 김명주는 어쩌면 처음부터 이러한 관점에서 아프리카를 바라 볼 수도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저자는 세네갈 한국대사환에서 근무했던 외교관이었고, 튀니지의 아프리카개발은행에 파견되어 근무했었다. 오랜 기간 동안 아프리카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어쩌면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눈으로 아프리카를 바라보았을 것이다.

 

아프리카라고 하면 역사적인 문명에 대한 기록은 사실 많이 접해보지 못했다. 그래서 나 또한 아프리카라고 하면 언론에서 말해주는 단편적인 사실 밖에 알지 못한다. 그래서 아프리카하면 기아와 내전 등 부정적인 이미지만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나 또한 어쩌면 백인들의 의해 임미적으로 쓰여진 왜곡된 사실을 마치 진실처럼 받아들여놓고 한번도 그에 대한 다른 생각을 해보려 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역사학자나 경제학자가 아닌 아프리카를 위해서 근무했던 공무원이서 그런지 서양의 눈과는 조금 다르게 아프리카를 조심스럽게 이야기해주려고 노력하는 부분이 책을 읽는 내내 느껴진다. 하지만 아프리카가 유럽의 식민지 시절의 이야기와 그로 인하여 아프리카가 마치 식민지 근성에 사로잡혀 발전의식이 없다는 식의 내용은 개인적으로 조금은 동의하기 힘들었다. 오랜세월 식민지 생활을 하다보면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그로 인한 피해가 생기기는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아프리카의 수많은 자원을 나라의 발전이 더디다는 이유하나만으로 경제부국의 나라에서 저렴함 임금을 통해 포식하고 있는 경제구조의 문제성이 더 크다고 본다. 개인적인 견해는 아프리카의 국민의 의식은 물질만능주의가 아닌 아직까지는 자연을 조금더 사랑하는 순수의식이 많이 남아있는 민족성에 물질로 모든걸 평가하는 시대에 이 또한 억지스러운 눈으로 편견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는 건 아닐까 우려가 되기도 했다.

 

처음에도 말했으니 각 민족의 아픔은 그 민족만이 느낄 수 있는 고유의 의식이 있다. 또한 그 민족의 잠재적 발전 가능성 또한 외부의 시선으로 단도직입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또한 그 어느나라도 이렇게 눈부신 발전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런 눈부신 경제적인 발전도 외부의 시선이지 실제로 우리는 너무 경제적인 성장에 치우쳐 민주주의 근본적인 정신을 짓밣힌채 성장해 왔고 그로인해 지금 우리는 성장통을 겪고 있다는 생각한다. 이렇듯 그 민족의 아픔은 오로지 민족만이 공감할 수 있는 아픔이라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아프리카의 내가 몰랐던 고대 문명과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는 눈을 주어서 고맙기도 했지만 어쩌면 저자 또한 조금은 편견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바라 볼 수 있다는 점을 놓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