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여행 끝에서 자유를 얻다 - 마음으로 몸을 살린 어느 탐식가의 여정
데이나 메이시 지음, 이유미 옮김 / 북돋움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여자는 다이어트를 죽을 때까지 한다는 말이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의식주 중에 하나인 ‘식’를 관리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그만큼의 대가를 치르면서 여자는 다이어트를 한다. 이 책의 저자인 데이나 메이시 또한 어릴적부터 잘 못 된 식습관으로 엄청난 대식가 였고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수 많은 다이어트를 시도 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녀가 음식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었던 것은 진정한 음식에 대한 사랑과 이해가 아닐까 싶다.

 

내면의 허기를 채워 온전한 몸을 얻은 탐식가의여행담이라고 자신 있게 말하는 저자는 진정으로 음식에 대한 탐욕에서 벗어난 듯 보였다. 그런면에서 그녀는 제대로 된 음식여행을 한 것이 아닐까 싶다. 무조건 소식을 하고 무조건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위주로 한다는 것은 주변에서 우리게 넘처나게 말해주는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해서 말해주는 처방전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방전은 누구에가 그렇듯 몇 칠, 몇 주, 몇 달까지는 참고 할 수 있지만 몇 년 아니 평생을 그렇게 소식하고 채식위주의 식단으로 살라고 하면 아마 참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렇게 무조건적인 방법이 아닌 진정한 음식에 대한 이해 그러니깐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 음식의 재료들의 탄생을 세세히 들여다보고 자연적으로 몸에 안 좋은 음식과는 작별을 하게 되었고, 마음에서 끌리는 음식을 선택하면서 행복하게 음식을 음미하면서 먹는 모습이었다.

 

음식의 재료에도 이해가 필요하고 사랑이 필요하다라는 생각을 책을 읽으면서 자연적으로 하게 되었다. 열매가 탄생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직접 가꾼 채소와 열매를 먹는다면 아마 우리가 쉽게 구입한 음식보다 뭔가 좀 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먹게 될 것이다. 또한 육식을 아무리 좋아해도 그 육식를 식재료로 오기까지 가축의 사육현장이나 가공되는 과정을 직접 보고 느낀다면 좀 더 다른 시각에서 식재료를 보게 될 것이다. 흔힌 먹는 인스던트 음식 또한 조리과정을 보게 된다면 간편하다는 이유하나만으로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음식이 아니라는 것을 저자는 우리에게 말해준다.

 

음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그 음식이 우리에게 주는 고마움을 진심으로 느낀게 된다면 우리는 꼭 채식주의가 아닌 진정으로 음식을 사랑하게 되는 미식가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