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연습 - 서른이 넘으면 자기 마음에 책임을 져야 한다
황상민 지음 / 생각연구소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생각연구소는 평소 좋아하는 출판사다. 거기에 황상민 교수가 책을 폈고, 이 고민의 상담은 MBC라디오 <김어준의 색다른 상담소> 청취자의 마음을 뒤흔든 화제의 이야기라고하니 내가 좋아하는 3가지가 모두 이 책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책을 마자마자 책 제목보다 나는 ‘서른이 넘으면 자기 마음에 책임을 져야 한다’라는 문구에 먼저 눈이 갔고, 나는 지금 서른 중반인데 어디에 서있지 하는 마음이 먼저 들어 우울한 기분마저 들었다. 그래도 “홀로 설 수 있는 사람만이 함께 설 수도 있다”라는 문구를 보면서 마음을 조금은 가라 앉히고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책에 서두에 나오는 “당신만의 색깔을 찾으세요”라는 질문에 “그러니깐 그걸 어떻게 찾아요”라고 대답하는 환자와 같은 말을 하고 있는 내 자신을 보면서 한심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대부분의 사람이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나와 같은 문제로 힘겨움을 나누고 있구나라는 생각에 안도감과 진정으로 나만의 색깔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지 하는 생각을 했다. 황상민 교수가 내 색깔까지 찾아 줄 수는 없듯이 주변에 어떤 사람도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 행복을 느끼는 일, 내 색깔을 찾아 줄 수 없으며, 나를 강제적으로 독립을 시켜 줄 수 도 없다. 이 모든 질문의 해답은 나만이 알고 있는 것이고 어렵고 시간이 다소 걸릴지라도 내가 스스로 찾아야하는 해법이다. 그래야만 비로소 내가 진정으로 독립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황상민 교수는 신체가 성인이 된 것처럼 내 내면의 마음도 신체의 나이에 맞게 성장해 나가야한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력도 필요하고 연습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체가 성장하면 당연히 마음이 같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연습을 해야한다니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한 숙제였다.

 

타인에게는 늘 관대하지만 내게는 짧은 잣대를 대어 늘 내 자신을 들들 볶는 경향 있다. 하지만 내 자신도 어쩔때는 조금 떨어져서 타인을 보듯이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잘 못된 행동을 고치고, 조금 관대해져서 행복을 누릴 수 있다면 이보다도 행복한 일은 없을 것이다.

 

이 책이 나에게 가장 큰 선물을 해준 것은 사실 자신의 고민은 자신이 가장 잘안다. 또한 고쳐야 하는 부분도 어쩌면 가장 잘 알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고민이 싫어서 누군가 멘토 역할을 해주거나 전문가가 짠~ 하고 해결책을 내어 주길 바란다. 이런 짧은 생각을 독립연습을 통해 나를 제대로 알고 제대로 행복해 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준 것이다,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