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자가 우리 엄마야 놀 청소년문학 14
로즈 임피 지음, 서민아 옮김 / 놀(다산북스)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세계 신기록을 세우기 위해 150일 동안 가족과 떨어져서 지하 땅속 2M 속에서 오래버티기에 도전하면서 지내는 엄마를 둔 13살 조던의 성장이야기이다. 책을 읽는 내내 동양과 서양의 부모의 관점과 의식이 조금 틀리다는 것을 느끼면서 책을 읽었다.

 

13살 조던은 이제 막 사춘기를 접어들었고 한참 엄마가 필요할 나이지만 정작 엄마는 본인의 인생의 삶을 살기 위해 도전을 이어 나간다. 땅속 2M 구덩이에서 오래 버티기, 주말이면 많은 사람들이 조던의 엄마의 대단한 기록을 보기 위해 땅꿀을 방문한다. 조던은 엄마가 너무 보고싶지만 정작 주말이면 주변사람들에게 밀려 얼굴보기 힘들고 매일 아침 학교가기전에 전화로 깨워주는 엄마의 음성과 잔소리가 전부 뿐이다. 또한 주변에서 아무도 조던에게 엄마가 필요한 나이지만 설득과 위로가 아닌 이제 너는 다 큰 어른이니 자립과 의점함을 강요한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가족의 사랑와 에피소드 보다는 어린 남자아이의 엄마 없이 지내면서 성장해나가는 성장이야기 보여졌다.

 

그 동안 성실했고, 학교생활도 잘하며 친구들 사이에서도 늘 좋게 지내던 조던이 엄마가 어느날 땅속 깊이 생활을 시작하면서 친구들과의 사이도 어색해지고 학교에서는 늘 지적을 당하고, 가족은 아무도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는다. 조던을 위해 생긴 강아지가 있지만 매일 산책을 시키고 밥을 챙겨주어도 엄마의 빈자리를 대신해 줄수는 없다. 엄마의 도전이 너무 위험해서 세계신기록에 의미가 없다는 말을 듣고 이제 엄마는 정상적인 삶으로 돌아올거라고 기대하지만 엄마는 마지막까지 채우고 나오겠다는 엄마를 이해하지 못하자 엄마는 세계신기록의 의미가 아니라 도전의 성공했다는 무엇인가를 완성했다는 데에 더 큰 의미를 둔다.

 

자녀를 자립적으로 키우고 각자의 삶을 중시하는 서양의 의식을 개인적으로는 조금 이해하기 힘들었지만 우리나라처럼 어머니,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 없어진 것도 어쩌면 조금 문제가 있지 않을까하는 반대편에서의 생각도 할 수 있게 해준 책이다.

 

가장 필요한 시기에 엄마는 본인의 도전을 위한 삶을 산다. 자녀인 조던은 그에 상처를 받지만 아주 먼 훗날 엄마라는 존재가 꼭 자녀만을 사는 삶이 아닌 엄마의 어려운 도전을 아주 조금은 이해하게 되고, 그에 사랑과 다시 용서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