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에 꼭 해야 할 101가지
리처드 혼 지음, 박선령 옮김 / 민음인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2010년 12월 1일 이사님이 직원들에게 한 가지 숙제를 내주셨다. 그 숙제는 주말동안 생각해서 월요일까지 제출하는 것이었는데 바로 나에게 딱 3일이라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하루에 한가지씩 할 일을 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바로 월요일 직원들이 회의시간에 간단하게 자기가 적은 것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런데 놀랍게도 죽기전 3일동안 대부분의 직장동료들이 하고 싶은 일은 가족과 맛있는 식사하기, 지인과 친구들에게 감사의 편지를 남기기, 고마웠던 분들을 찾아뵙기, 회개와 감사기도하기, 선행하기, 장기기증하기 등등 꼭 죽기전에 해야할 일들은 아니었다. 이사님은 직원들에게 올해가 가기전에 적은 것중에 한가지만 실천하기라는 숙제가 다시 주워줬다. 비록 12월이 끝난후에도 검사하는 사람이 없었지만 죽기전에 정말 하고 싶은 일들은 그동안 조금은 귀찮다고 생각했던 감사함과 사랑한다는 표현인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이 참 읽고 싶었다. 죽기전에 꼭 해야할 101가지의 일들... 쉽게 지날칠 수 있는 많을 것들을 다시금 생각나게 해주고 체크해 가면서 하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책에는 조금은 대담하고 위험것들로 채워져있다. 예전 애인과 친구로 지내기, 고급식당에서 비싼 음식을 먹기, 전세계 모든 나라를 방문하기 등 조금은 어려운 과제이지만 책에서 말해주고 싶은 것은 그만큼 후회하지 말고 행동으로 옮기고 생각과 눈을 조금 더 넓히라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이 서양의 작가가 집필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나와는 조금 동떨어진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부분도 많이 있어 조금 아쉬웠다. 예를들면 부적절한 곳에서 섹스를 하기나 돈을 내지 않고 도망가기, 남들을 골탕먹이기, 화산이 폭팔하는 장면을 목격하기 등 조금은 엉뚱하고 조금은 좋지 않을 것들이 포함되어있는데 이런것들은 문화적차이에서 오는 편견일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꼭 이 책에서 제시하는 것들이 아니라 스스로 죽기전에 꼭 해보고 싶은 것들을 목록을 만들어 즐길줄 안다면 인생은 한층더 흥미로워지고 재미있어지며 활기찰 거라는 생각도 듣다. 또한 정말 열심히 살고 싶다는 생각도 들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나는 꼭 101가지가 아니라 2011년도 꼭 해보고 싶은 것을 3가지 정했다. 책을 통해 얻은 것은 자신감과 즐거움 그리고 도전하는 열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