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있어준다면
게일 포먼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너무 많이 내린 날이었다. 눈이 내린 도시의 모든 학교는 휴교를 했고, 선생님이시던 아버지도 덩달아 특별 휴가를 얻었다. 이에 어머니 또한 모두가 집에서 쉬는데 나만 일을 할 수 없다며 사정을 이야기하고 하루 휴가를 냈다. 너무나 평화롭던 날의 모든 일은 눈이 내리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온 가족이 시내로 나가던 길까지만 기억을 한다. 책 속의 주인공 ‘미아’는 혼수상태에서 자신의 보게되는 특이한 경험을 하게 된다. 교통사고로 이미 끔찍하게 죽어버린 자신의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볼 수 없는 자신의 동생. ‘미아’는 가족과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회상하기 시작한다. 자신의 살리려는 의사와 간호사의 모습을 보며 ‘미아’는 행복했던 기억과 첼로를 배우기 시작한 모습 그리고 처음 콩클 대회에 나가서 떨었던 긴장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따뜻했던 격려. 가족의 모습을 보며 행복했던 기억과 차담함을 동시에 표현하는 이 사건을 ‘미아’는 처절하게 이겨 나간다.

 



‘미아’는 아주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바로 자신의 생명을 선택 할 수 있는 권리. 아버지와 어머니의 뒤를 따라 죽음의 세계로 들어갈 것인가 아님 아무런 가족도 없이 모든 슬픔을 혼자서 견뎌내야 하는 현실로 나와 자신의 생명을 이겨 나갈 것인가? ‘미아’의 선택권은 우리 모두의 선택권과 같았다. 자신이 절실히 살아주기를 바라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자신의 친구 킴 그리고 자신의 남자친구 애덤 이 모두가 자신이 살아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미아’에게 가족은 죽어버린 아버지와 어머니를 뛰어넘어 이제 곁에서 자신이 살아주기를 바라는 이들이 가족이 되었다. 살아만 준다면 ‘미아’에게 가족이 되어 줄 것이다.

 



삶의 희망은 아주 작은 곳에서 나온다. 자신의 처참함을 두 눈으로 보고 이미 잃어버린 가족이 슬픔이지만 다른 곳에서는 자신을 간절히 바라는 이들이 있다. 절대로 살아남지 못할 것 같지만 이들이 있기에 살아갈 수 있는 용기가 생기고 희망이 다시 생긴다.

 



작가는 열일곱살의 여자아이에게 삶의 선택권을 주었다. 이 선택권은 누구나 가지고 싶어하는 선택권이면서 모두가 가지고 있는 선택권이다. 다만 자신의 손에 쥐어져 있는지를 모를뿐 ‘미아’는 이 선택권을 처음에는 어려워 했지만 결국 희망을 찾아내고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 냈다. 또한 읽는 사람에게도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 동시에 삶의 진정한 소중을 보여주었다.  '네가 있어준다면' 이 말은 '미아'에게도 미아를 간절히 바라보는 킴과 애덤에게도 그리고 우리 모두에게도 꼭 필요한 밀이며 가장 원하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