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렌지 주스의 비밀 - 신선함이 조작된
앨리사 해밀턴 지음, 신승미 옮김 / 거름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처음 보는 순간 나는 몇해전에 읽었던 ‘과자, 달콤한 유혹’이라는 책일 떠 올랐다.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과 같은 음식이 이런 책을 굳이 읽지 않더라고 몸에 좋지 않을거라는 것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과자, 달콤한 유혹’란 책을 읽고 나서 너무나 끔찍했고 정말 내가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과자 가공식품은 절대 먹이지 않겠다라는 강한 의지까지 만들어 줄 정도였다. 그런 맥락에서 탄산음료보다는 과일류의 음료를 더욱더 즐겨 마셨던 것이 사실이다. 광고의 카피처럼 100% 천연 과즙은 아니더라고 어느 정도의 건겅에 조금은 도움을 주지 않을까 싶어서였다. 그러나 이 책을 보면서 나의 이런 생각을 다시 한번 무참히 빼앗가 갔다. 저자의 말처럼 오렌지주스가 인체에 아주 독한 해를 주지는 않지만 소비자는 알 권리가 충분히 있다. 이 제품에 어떤 첨가물이 첨가되었고 어떠한 공정을 통해 음식이 만들어 졌는지는 제품상세표로 통해 소비자는 이 부분을 충분히 인지하고 제품을 구입할 수 있겠금 하는 것이 맞는 것이다. 하지만 오렌지주스은 100% 과즙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광고의 카피와 광고의 내용은 마치 이것이 진짜처럼 광고가 되어지고, FDA에서는 식품구매자 대다수가 사회활동을 하지 않는 무지한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제품상세표를 아주 간단하게 하여 이러한 잘못 된 정보를 마치 진짜인양 받아들이게 했다는 것이다.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해야하는 FDA에서 이러한 부분을 묵과하고 오히려 부축여 오렌지주스의 시장을 키워줬고 이제는 이 부분에 대해서 그 어느 누구도 오해하는 부분이 없게 만들었다. 저자 앨리사 해밀턴 또한 처음부터 이 분야를 연구하기로 했던 부분이 아니다. 저자는 스위트오렌지의 생물학적 다양성에 대해 연구를 하던중 우연히 레이크 랜드에 위치한 토머스 맥 감귤류 기록보관소에서 감귤정보를 보게 되면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고, 저자 또한 처음에 굳이 인체에 아주 유해한 것도 아닌데 이런 부분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까라고 생각했지만 알 권리를 받아들이고 소비자를 위해 이 책을 내었다.

오렌지주스는 처음 전쟁을 하던 군대의 비타민 보충을 위해 개발되어지 시작했다. 열로 가공한 오렌지주스는 신선한 오렌지주스의 맛을 내지 못했고 이부분을 해결하기 과학자 몇 명이 보여 가공된 오렌지주스의 맛을 내기 위해 연구에 돌입했다. 그 과정에서 오렌지주스의 맛을 내기 위한 첨가물을 넣기 시작되었다. FDA는 이런부분을 모두 알고 있으면서도 서로 눈감아주기 식으로 그동안 많은 소비자를 속여왔다. 소비자를 가장 생각해야하는 FDA가 이런식으로 눈감아주기를 한다면 소비자는 정말 어떤것을 진실이라고 믿어야 할지 모르겠다. 제품상세표에 칼로리까지 적게 되어진 현 시대에서 이런식으로 거짓은 이제 그만되어져 할 것이다. 오로지 소비자의 알 권리 위해 이런한 책을 내준 저자 앨리사 해밀턴은 고마울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