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의 집
가토 유키코 지음, 박재현 옮김 / 아우름(Aurum)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아주 마음이 따뜻해지는 소설을 만났다. 그래서인지 책을 받고 단숨에 읽어 내렸던 책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나도 꿀벌의 집을 찾아가고 싶은 마음까지 들 정도였다.
꿀벌의집에는 각자의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이들이 만나서 만들어가는 이야기이다.

중학교 때 아버지의 자살로 인해 어머니와 사이가 멀어지고 결국 평범한 모녀지간이 아닌 서로에게 낯선 존재로 살아가는 리에와 그의 어머니, 그리고 젊은 시절 외국인과의 만님속에서 아이를 임신하고 그 상처로 인해 자살시도까지 했지만, 실패로 돌아가고 젊은 싱글맘이 되어버린 양봉장 사장님 기세, 우울증과 거식증에 시달렸던 아케미짱, 젊은 시절 폭주족이었던 겐타 이렇게 아픔이 가득한 이들이 모여 치유를 통해 삶의 의미를 되찾아가는 따뜻한 이야기이다.

서로 아픔은 있지만 절대로 그 아픔을 건들이지 않고 자연속에서 상처를 치료해나가는 이들이 모습속에서 자연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깨닫게 해주었다. 한편으로 마음의 상처는 치유해야 관계속에서 살아갈 수 있다.
양봉장 사장인 기세는 꿀벌을 통해 삶의 의미를 되찾았고, 푸른눈의 아들을 보면서 더 이상 아파하지 않을 것이다. 리에는 자연을 통해 어머니와 소통하는 방법을 배웠으며, 중학교 때 자살해 버린 아버지를 용서할 수 있었다. 또한 아케미짱은 자연적 치유를 통해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 방법을 배워 나갈 것이다.

생각해보면 아빠도 엄마도 딸도 오랫동안 따로따로 살아왔다. 같은 지붕 아래 먹고 자면서도 서로 어긋나 있었다. 가족 간에 어긋나는 것이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라고 해도, 어떻게 어긋나 있는지조차 관심 없었던 것은 좀 심했다. 이런 것을 생각할 때마다 리에 안에 살고 있는 꿀벌이 쏜다. 쏘아도 내장이 나오지 않는 불사신 꿀벌이. 엄마도 그런 벌을 몸속 깊숙이 계속해서 키우며 살아왔던 것일까. 의논을 할 수도, 이제 만날 수도 없는 곳으로 가버린 아빠에......
p.185


가족간의 불화는 어느집이나 있을 것이다. 그 방법이 어떠한 형태로 표출된던지 간에 그러나 그 불화를 어떻게 이겨나가고 서로에게 신뢰와 사랑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어려울 것이다. 리에와 어머니 서로에게 표출 하지 않았지만 자살해 버린 아버지로 인해 각자의 상처를 안고 살았을 것이다. 그러면서 그 상처로 인해 가슴속에 여왕벌을 키웠을 것이고, 이 여왕벌은 알을 품어 상처를 키웠을 것이다. 그러나 꿀벌의 집을 만나고선 이러한 가슴속 꿀벌을 더 이상 키우지 않고 자연속에 날려 버렸다. 사실 꿀벌의 집이 아니라 꿀벌의 집을 품고 있는 대자연을 만나고선 가슴속 여왕벌은 더 이상 사람안에 갇혀있지 못하고 자연으로 탈출을 했을 것이다.

대자연의 치유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다.
사람속에서 더 이상 회복 될 수 없는 문제는 그러니 대자연속에서 치유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내 마음속의 꿀벌도 이제는 대자연을 만나 저 멀리 날려 버리고 싶다.
아픔을 저마다 품고있지만, 자연의 치유를 도움받아 새로운 희망을 만들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꿀벌의 집 아니 꿀벌의 집을 품고 있는 자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