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 노트 - MBA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는
제임스 히긴스 지음, 박수규 외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책을 읽어 나가는데 있어 내용이 사실 좀 어려웠다. 책장을 쉽게 쉽게 넘길 수 있는 책도 아니었기에 책을 읽어가는데 있어 노력이 필요했던 책이었다. 그러나 그 내용만큼은 절대 놓치고 싶지 않는 책이어서 시간을 오래 잡고 천천히 읽어 내렸던 책이다.

창의력이 이렇게 많은 곳에서 쓰임받는줄 몰랐다. 그중 가장 큰 것이 문제가 생겼을 때 창의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해 주었다. 문제가 생기면 시간이 약이라고 그냥 흘러가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변화 된 것이 있다면 창의적 사고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매 순간 내 삶의 방향을 어떻게 바꿔놓는가 였다. 쉽게 생각해 창의력하면 아이디어만 생각했지만 삶의 모든 곳에서 창의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창의력이 가장 필요한곳은 그래도 역시 상품을 위한 아이디어일 것이다. 이 창의력을 발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환경을 분석하고 조사하는 것이 첫 번째이며 그 다음이 대안을 생각해 내는 것이고, 아이디어가 창출되었다며 그것을 추진력 있게 밀고나가는 것까지가 창의력의 모든 단계가 아닐까 싶다.

여지껏 아이디어는 나 혼자만의 고민이며, 좋은 아이디어 떠 올을 때까지 비밀이었고, 엉뚱한 상상력에 불과하다고 나 자신에게 잣대를 만들어놓고 아무에게 말하지 않은 적도 많다. 하지만 좋은 아이디어는 여러사람이 힘을 모을때 나온다. 내가 3을 생각했지만 다른사람은 내가 생각해 낸 3에 1을 더해 더 좋은 해결책을 내 놓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실제로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여러사람이 둥글게 모여 앉아 의논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내놓는다고 한다.
아이디어는 생활 곳곳에서 발견해야하고, 특별한 곳에서 발견을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그만큼 일상에서 필요한 것이 진정한 아이디어인 것이다.

회사에서건 학교생활에서건 회의를 한다고 하면 전날부터 고민에 빠진 날이 많았었다. 내가 저 친구보다는 좋은 의견을 내 놓고, 좀 더 훌륭한 아이디어를 내 놓아야 하는데하는 부담감 때문에 말이다. 그러나 아이디어는 내가 속해 있는 조직생활를 하는 모든 일원이 협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무리 유치한 상상력이라도 그것을 더 좋게 만들어줄 누군가가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이제는 회의가 두렵지만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좀 더 자신 있게 내 의견을 표출할 수 있을것 같아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는 느낌을 받았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큰 수학은 바로 아이디어 그리 큰 대단한 존재가 아닌 작은 상상에서부터 나온다는 것이다. 그리고 혼자만 끙끙 앓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일깨워 준 것이다.

혁신공식
C(×)IOC(×)SSE=I

창의성(Creativity, C)이
존재하는(occurring in an, ×)
혁신적인 조직 환경(Innovative Organizational Context, IOC)
안에서(within a, ×)
이를 지지하는 사회 환경(Supportive Societal Environment, SSE)
결과(result in, =)
혁신(Innovation, I)
 

비즈니스에서 창의성을 중시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혁신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다. 조직에서의 창의성과 혁신의 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혁신공식’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p.27


창의력이 크게 발산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조직도 좋은 아이디어 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이다. 혁신을 지지하는 사회 환경속에서 좋은 제품이 나오는 것이다. 우리는 혁신을 지지하는 사회 환경속에서 살아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