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밥상 이야기 - 거친 밥과 슴슴한 나물이 주는 행복
윤혜신 지음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책의 제목처럼 정말 착한 내용들로 내 몸속을 착한 먹거리들로 가득 채워준 착한 책이다.

착한밥상
나는 이 밥상을 예전 친할머니에게 받았으며,
그리고 매년 여행처럼 다녔던 외할머니 댁에서도 받았으며,
현재 우리엄마에게도 매일 받고 있다.
그리고 먼 훗날 나는 이 밥상을 내 아이들에게 고스란히 돌려줄 것이다.

밥은 어쩌면 공기처럼 매일 먹는 것이라, 소중한 줄 모르고 무의식적으로 입을 즐겁게하고, 배를 채우기 위해서 먹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밥상속에 있는 내용물이 내 몸속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결국 내 몸속의 피와 살이 된다고 하면 절대 쉽게 놓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내게 있어 착한 밥상은 내입을 즐겁게 주는 음식들로 가득 찬 밥상이었다. 그러나 책을 읽고 깨우친 착한 밥상은 늘 지겹게만 느껴졌던 우리엄마 끓여준 된장찌개와 나물들로 가득 찬 밥상이 되었다.

언제가 시집간 언니가 ‘몸에 좋다는 비싼 음식을 사 먹을 수는 없지만, 최소한 몸에 나쁘다는 음식을 내 돈 주고 사 먹을 필요는 없지 않는냐’라는 말에 코웃음을 쳤던 기억이 났다. 그러나 이제와 생각해보니 언니에겐 생명과도 같은 자식이 있었고, 나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가 너무나 쉽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음식들이 몸에 얼마나 해가 되는 줄 알고 하는 소리였고 그런 음식을 분명 가족에게 먹이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엄마가 늘 했던 말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 놀랐다. 엄마는 늘 내게 사람을 제철 과일을 먹어야하고, 제철에 나는 나물을 먹고 살아야 한다고 말하셨다. 한겨울에도 백화점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수박을 보면서 하신 말씀이다.
그럴때면 나는 늘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그런 고리타분한 말을 하냐고 타박을 주었었다. 하지만 인간도 햇빛을 받고 광합을 해야 하듯이 빛과 물이 주식인 식물들은 더할나이 없을 것이다. 그런 과일과 채소을 비닐하우속에서 양분과 형광등 불빛과 보일러의 온도로 키우니 분명 뭐가 잘못 되었어도 한참은 잘 못된 것이다.

이 책은 작가의 작은 사연들과 함께 맛있고 몸에 좋은 음식을 만드는 방법까지 멋들어진 사진과 함께 기재되어 있어 요리책 못지않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새댁이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담 시집을 가지 나보다 훨씬 깨우침이 많았을텐데 하고 아쉬움을 줄 정도로 좋은 책이다.

음식은 맛으로만, 영양으로만 먹는 것이 아니다. 음식을 그저 색이나 모양새로, 유행이나 분위기로만 먹는 것도 아니다. 마음으로도 먹는다. 마음으로 먹는 음식은 배뿐 아니라 영혼을 채워주는 천사의 음식이다.
p.058


매일 어머니가 만들어주시는 착한 밥상을 먹고 싶다.
이제는 매일 그 나물에 그 반찬이 아닌 마음으로 음식을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어머니가 만들어주신 천사의 음식...
나는 이 천사의 음식을 내 가슴속에 새겨두었다가 내 어머니에 그대로 돌려줄 것이다.
먼 훗날 내 아이가 생겼을 때 이 천사의 음식은 모두 네 할머니에게 배운 그대로라고 갈르쳐 줄 것이다. 그리고 이 천사의 음식을 많은 사람들에게 베풀 것이다.
이런 많은 것들을 깨우쳐준 이 책이 나는 그저 고마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