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적으로 접근한 자존감




p7


내가 생존하기 위해 


'타인'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는 느낌을 '자존감'



자존감에 대해


심리학적, 인문학적 관점에서 보는 서적은 많다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는


과학적으로 자존감에 접근하여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소개해 이해를 돕고 있다


 



나의 밑줄




p233


외부에서 내부로 주의를 전환하는 과정은 (중략)


신체 상태를 더 잘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 같다



자신을 고립시켜 감정과 신체 집중하면 


균형점 회복에 도움이 된다






p297


경외감이 들 때 자기에 대한 개념이 희미해 지거나 


축소된다고 하며 겸손해지거나 겸허해지고 


나아가 타인에 대한 친사회적 경향성이 높아진다고 한다



경외감을 느끼는 게 이렇게 중요한지 새롭게 알게 되었다 


종교, 자연에서 


경외감을 느끼는 경험을 많이 해 보아야겠다






자존감에서 [자기감]으로 





p9


자기감정 인식이란


말 그대로 감정을 경험하는 순간


감정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며 감정의 깊은 원인을 추적하고


정확히 파악하여 자기감정 인식에 도달하면


건강한 자존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는


이러한 '자기감정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잘 알려 주고 있다



자존감에 대해 뇌과학적 관점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고 싶다면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