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들의 마스터피스 -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
데브라 N. 맨커프 지음, 조아라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화는 어떻게 명화가 되는가 




p6 명화란 시대정신을 구현하면서도


예술가 개인의 독특한 비전을 함께 보여주는 실물 오브제를 말하며 국가와 문화적 경계는 물론 시대를 초월하는 내재적 우수성을 가졌다고 판단되는 작품을 일컫는다 



p7 명화가 명화라 불릴 수 있게 하는 요인들을

능동적으로 관찰하고 경험하고자 한다



명화 하면 떠오르는 몇가지 그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모나리자도 있고~^^



유명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그 그림이 왜 명화가 되었는지,


왜 오늘날 까지도 재생산되고 


대중들에게 각인되는지는 


대부분은 알지 못하고 감상한다



[화가들의 마스터피스]는


명화가 왜 명화가 되었는지 


뒷 이야기를 알려주는 책이다





명화에 숨겨진 이야기





* 보티첼리 - 비너스의 탄생



p25


작품이 주는 메시지는 


'시대를 초월한 백인 유럽인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이라는 단순하고 매혹적인 상징으로 축소되고 말았다 



르네상스 대표 화가이자 


내가 좋아하는 화가인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이 


어떻게 명화가 되었지를 설명 해주고 있다



아름다운 그림이라 


두고두고 회자가 되는 명화가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비너스의 탄생이 맥락없이 이미지만 유포되어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상징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위의 드레스 처럼 


오늘날에도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명화지만


그 의미가 단순히 '미'에 대한 상징성 이라는게 조금 안타까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 모나리자




p30 전에 없던 자연스러운 생명력을 재현해냈다



모나리자는 왜 명화일까?


많은 사람이 열광을 하기 때문에 명화 인걸까?



사실 현대의 관점으로 보면 특별할 것 없어보이지만


당대의 그림들과 비교해보면


기존의 영혼 없어 보이던 정적인 인물표현을


살아있는 듯한 미소를 통해 


생명력을 처음으로 구현해 냈다는 점이


매우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조르조 바사리가 말한


예술이 자연을 얼마나 유사하게 모방할 수 있는지 알고 싶은 사람은 모나리자를 연구해야 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와닿는다






* 프리다 칼로 - 초상화


p175 자화상이라는 미술의 한 주제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끝내 


개성 있는 명화로 탄생하게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프리다칼로는 자화상을 통해 


마치 현대의 인플루언서 처럼


개인 브랜드화를 이루었다 


그 점에서 혁신적인 명화 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명화를 보기


이 그림이 왜 명화가 되었는지


화가의 뒷 이야기나, 시대 문화 배경등을 통해 


명화가 되어가는 과정을 알려주는 책이라 새롭다



명화는 태어날때부터 명화가 아니다 


명화 만들어져 가는 과정이 궁금하다면


[화가들의 마스터피스]를 추천한다


그림을 좋아 한다면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