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은 어디에 있나요
요시다 슈이치 지음, 권남희 옮김 / 은행나무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과 어울려야 힐링이 되는 사람이 있고 혼자서 자체 힐링이 가능한 사람도 있다. 예전에는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했다면 이제는 혼자서 조용히 힐링하려 애쓴다. 간혹 나의 힐링이 지나쳐 다른 이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할 때가 있기 때문이란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었다. 힐링이라는 게 현실을 피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 단어를 좋아하진 않았다. 하지만 즐거이 읽을 책이 있다면 힐링이라는 단어, 다시 한 번 유보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책은 간략한 이야기를 여러개 엮어놓은 듯한 느낌이었다. 하지만 책의 내용은 이어져 있었고 읽으면서 즐거운 마음도 들었다. 여행 형식의 글이 주는 가장 큰 장점은 간접적으로 내가 그 공간에 있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을 보면서 느낀 건 사진이 떡하니 실린 것보다 손으로 그린 듯한 그림들이었다. 여행 형식을 빌리다보면 사진을 많이 삽입한 책을 만날 때가 있다. 사진의 정확함과 화려한 색감이 눈을 사로잡을 때도 있다. 하지만 너무나 진보한 디지털에 물릴 때쯤 손으로 된 아날로그 방식의 그림을 접함으로써 신선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그렇다고 책의 내용이 허술하거나 하지 않았다. 일본책의 특성인 간략함을 모토로 삼은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간략함이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이유가 아닌가 싶다. 힐링이나 생각이 많을 때 볼 수 있는 즐거운 책을 만난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르는 척
안보윤 지음 / 문예중앙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처음 이 책을 펴서 읽고, 끝 장을 닫을 때까지 느낀 건 음울, 무기력이었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나서 이 글을 쓰기 위해 다시 한 번 곱씹어 책을 생각해 보았다. 생각해 보면 음울한 책이라 생각한다. 인생에서 희열이나 즐거움은 없었다. 아마도 현실을 반영한 책이 아닌가 싶다. 인생의 반 이상은 언제나 음울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어느 때보다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고 자부한다.

아침나절부터 읽기 시작했을 때에는 맑은 하늘과 반대되는 글이 마음에 들지 않기도 했다. ‘괜히 펴본 건 아닐까?’라는 생각과 ‘괜히 기분만 더 상하는 게 아닐까?’라는 게 처음 읽기 시작하면서 가지고 있던 마음이다. 중간에 가면서 ‘책이 뭐 이래’라며 인상을 찌푸리기도 하였다. 언어능력의 미달로 줄거리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그래서 내가 읽고 싶었던 책이었는지 등등. 무궁무진한 생각으로 머릿속은 번개가 우르르 쾅쾅이었다.

하지만 뒤의 글을 읽어나가면서 이런 생각을 바꿔주었다. 읽어나가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가장 동떨어진 소재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말로 그럴까? 아마 음울함, 모르는 척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리라. 언제나 봐도 못 본 척, 보기 싫은 사람이 지나가면 모르는 척, 못 들은 척 하며 다른 이와의 관계를 이어나가고, 마음이 아파도 내 상태를 모르는 척하며 지나가는 것들. 괜찮다며 힐링할 수 있는 이야기만으로 버티기엔 세상은 너무나 힘든 곳이라는 걸 모르는 척, ‘살다보면 좋은 일이 있겠지’라는 생각으로 버티는 우리들에게 현실파악의 돌직구를 날려주는 책이 아닐까?

소설의 형식을 빌려왔지만 우리에게 가장 현실적인 대안을 끌어내고 있는 이 책을 다른 독자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나처럼 현실적이라 느끼며 공감대를 받고 있을지 아니면 배척을 받고 있을지. 하지만 잘 생각해보라. 정말로 그대는 모르는 척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패러독스 1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티비에서 본 적이 있는 미스터리 소재였다. 어느 날, 유목민족이 모든 세간을 두고 증발해 버리는 사건이나, 바다 위에서 큰 배 한 척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었다. 그 안은 처참한 광경이었다. 정말로 이런 일이 일어난다는 게 SF가 우리 생활에서 멀지 않다는 증거가 되지 않을까? 작가도 이러한 사실을 접하고 나서 ‘팟!’하고 써낸 거라 생각한다. 우선은 작가도 인간이니까.

게다가 이 작가, (내가 느낄 때에는)참으로 음울한 글을 썼던 것으로 기억한다. 제목은 잘은 기억나지 않는다. 언제나 독후감을 쓰면서도 기억에 잘 남지 않는 게 제목이다. 하지만 강렬한 인상은 잘 잊혀지지 않는 법, 그가 써내는 특유의 음침했던 문체는 기억에 잘도 남는 편이니까. 그러나 그의 글이 싫었던 적이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새로움과 안전함, 이것이 나를 이 작가의 책에 손을 뻗게 만들어주는 게 아닐까?

SF가 무서운 건 ‘아마도’라는 전제가 깔려있기 때문일 것이다. 진짜로 일어날 수도, 아니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반반의 의심은 사람을 ‘아마도’의 함정에 빠뜨리게 된다. 잠시 동안 ‘이런 재앙이 일어나면 어쩌지?’라는 물음이 생기도 ‘아마도’라는 대답을 시작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생각하면 무섭고 당혹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작가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이런 소재를 가지고 책을 한 권 풀어낸 것 같다.

야근 때문에, 또는 송년회에서 등등. 나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때가 언제였는지 기억도 나질 않는다. 연말은 정말 바쁘고, 흐지부지하게 지나간 거 같아 아쉽다. 신년에 걸쳐 책을 읽을 수 있었다. 한동안 책에 손을 대지 못했던 나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힐링이었다. SF장르에 힐링을 얻는다는 말에 아이러니를 느끼지만 그래도 나에게는 혼자만의 즐거운 힐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강연을 담은 책이 출간되었다. 그는 작가라는 부수적인 직업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독자라는 취미활동을 해내가고 있는 한 외국인이다. 그는 책을 읽으면서 독자는 어떠한 마음으로 책을 읽는지, 그리고 작가의 종류를 분류하며 그의 강연록을 책으로 옮겨 담았다. 나는 대부분, 아니 전적으로 독자의 입장에 서 있다. 작가라는 직업을 가지지도 않았으며 그들에 대한 동경만 있을 뿐이다. 게다가 하루가 지나면 팝콘 터지듯 나오는 신간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좋아하는 책이지만 한숨이 나올 때가 많다. 갯벌에서 진주를 찾는 것만큼 좋은 책, 내 구미에 맞는 책을 찾아내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 때는 작가의 노고를 잊고 책을 읽을 때가 많이 있다. 그들은 자신의 세계를 펜을 통해, 글자를 통해 전개해 나가거나 설득, 제시하는 입장에 서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의 노고를 잊는 게 아닌가 싶다. 게다가 한 번 박힌 안 좋은 선입견으로 더욱 비판적으로 바뀌는 것 같다.

하지만 나도 달라질 때는 있다. 내가 좋아하고, 구미에 맞는 책을 골랐을 때이다. 그게 바로 이 책인 것 같아 많이 반가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독자의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 그가 참으로 대단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독자는 책을 읽을 때 상상을 많이 한다. 책의 내용을 상상함으로써 그 책에 흠뻑 빠져들고 너무나 좋았다는 생각이 들면 내 책들 중 베스트로 선정하는 즐거움을 누린다. 그도 이런 즐거움을 알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이러한 독자의 생각과 패턴을 분석하는 책을 내놓았지 않겠는가.

독자의 입장에서 내놓은 책을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내가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나의 머릿속은 어떤 상태였는지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을 한 번에 정리해주고 ‘내가 이렇게 책을 읽었구나’하는 생각에 놀라기도, 웃음이 나기도, 아니면 전혀 다른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걸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패턴이 틀리다고 해서 민망해할 필요는 없다. 사람은 누구나 다 다른 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강연을 담은 책이 출간되었다. 그는 작가라는 부수적인 직업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독자라는 취미활동을 해내가고 있는 한 외국인이다. 그는 책을 읽으면서 독자는 어떠한 마음으로 책을 읽는지, 그리고 작가의 종류를 분류하며 그의 강연록을 책으로 옮겨 담았다. 나는 대부분, 아니 전적으로 독자의 입장에 서 있다. 작가라는 직업을 가지지도 않았으며 그들에 대한 동경만 있을 뿐이다. 게다가 하루가 지나면 팝콘 터지듯 나오는 신간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좋아하는 책이지만 한숨이 나올 때가 많다. 갯벌에서 진주를 찾는 것만큼 좋은 책, 내 구미에 맞는 책을 찾아내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 때는 작가의 노고를 잊고 책을 읽을 때가 많이 있다. 그들은 자신의 세계를 펜을 통해, 글자를 통해 전개해 나가거나 설득, 제시하는 입장에 서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의 노고를 잊는 게 아닌가 싶다. 게다가 한 번 박힌 안 좋은 선입견으로 더욱 비판적으로 바뀌는 것 같다.

하지만 나도 달라질 때는 있다. 내가 좋아하고, 구미에 맞는 책을 골랐을 때이다. 그게 바로 이 책인 것 같아 많이 반가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독자의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 그가 참으로 대단하고,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독자는 책을 읽을 때 상상을 많이 한다. 책의 내용을 상상함으로써 그 책에 흠뻑 빠져들고 너무나 좋았다는 생각이 들면 내 책들 중 베스트로 선정하는 즐거움을 누린다. 그도 이런 즐거움을 알고 있다고 본다. 그래서 이러한 독자의 생각과 패턴을 분석하는 책을 내놓았지 않겠는가.

독자의 입장에서 내놓은 책을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내가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나의 머릿속은 어떤 상태였는지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을 한 번에 정리해주고 ‘내가 이렇게 책을 읽었구나’하는 생각에 놀라기도, 웃음이 나기도, 아니면 전혀 다른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걸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패턴이 틀리다고 해서 민망해할 필요는 없다. 사람은 누구나 다 다른 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