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엔 아무것도 없어 1 - 버리기 마녀의 탄생
유루리 마이 지음, 정은지 옮김 / 북앳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엔 아무 것도 없다는 말이 처음엔 이해가지 않았다. '어떻게 사람이 사는데 아무것도 없을 수 있지?' 하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물건을 안 사는 건가, 아니면 쓸만한 물건이 없다는 건가'라는 생각까지 도달했었다. 물건이 차고도 넘쳐나는 이 시대에 물건이 없이 살다니.
그리고 책이 왔다. 간소하게 얇은 책이었다. 꼭 마음에 들었다. 얇은데다 가볍고 그리고 만화로 된 책이라 그런지 읽는데도, 이해하는데도 빠르디 빨랐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물건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지, 손님이 오는 등에 대비해 식기는 얼만큼 대비해 준비하고 정리할 때 어느 날은 어느 부분을 정리해야 하는지 플랜 등이 있는 모습이 생소하긴 했다. 나는 그날 그날 온 집안을 들쑤시기 때문이다. 이렇게 한다면 나 또한 빠르게 정리하고 나만의 자유시간이 더 늘어날 거란 생각이 든다.
가장 인상적인 건 이 사람이 가장 크게 '정리'에 대해 와 닿게 된 게 동일본대지진 때라고 한다. 물건이 흉기로 변해 자신을 위협하게 되자 더욱 가열차게 정리했다고 한다. 이런 계기를 볼 때 과연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하지만 어떤 계기가 되었든지 '정리'라는 것에는 방식이 중요한 것이라 생객해본다.
인상적인 것이 또 있었는데, 바로 윗칸을 채우지 않는 것이었다. 윗칸을 채우지 않음으로써 열렸을 때 물건이 와르르 쏟아지는 대참사의 예방. 나 또한 많이 반성하게 만드는 행동이었다. 가끔 물건을 씽크대 윗부분에 쑤셔넣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접하기 몇 달 전 난 대대적으로 책상 정리에 돌입했었다. 내가 원하는 책들만 남겨두고, 5칸의 책장 중 2칸은 절대적으로 비워놓고 있다. 잡동사니를 쌓기 위해서다. 하하. 정리하다보니 지금 생각해보면 참으로 무안한 것들이 내 책상엔 구석구석 곳곳에 매우 많이 쌓여있었다. 꺼내놓고 나니 무안했다. 하지만 여태까지 버리지 못하는 것들이 있었다. 그건 바로 책이랑 상자다. 문제집은 쿨하게 버릴 수 있는데 유독 책이랑 상자는 버리지 못하겠다. 특히, 신발상자.
언젠가는 쓰이겠지라는 생각과 실제로 정리해 사용하고 있지만 여분의 준비랄까? 없으면 은근히 불편하다고 느끼고 있다. 이런 필요성을 대체할만한 물건을 찾지 못하였기에 이렇다고 생각한다. 꼭 대체할 물건을 찾고, 이 책을 읽고 우리집도 아무것도 없이 비워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