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의 연인들
김대성 지음 / 문화구창작동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받아보고 긴가민가한 게 있었다. 어쩌면 가장 원초적인 사랑이라는 게 나는 가장 순수한 사랑이라 생각하였던 것 같다. 아마도 가장 1차원적으로 플라토닉 사랑을 생각하였다. 하지만 내가 생각한 게 1차원적인 게 아니라는 메시지를 이야기 하고 있다.

어쩌면 나는 아직 이 책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읽는 시간도 더 오래걸렸고, ‘왜?’라는 질문이 내 머릿 속을 가득 채웠다. 내가 이해하려는 건 이 책의 줄거리가 아닌 그들의 행동이다. 분명 더 깊은 게 있다는 생각이 든다. ‘과연 작가가 여기까지만 생각했을까?’ 라는 생각과 함께 ‘더 말하고 싶었는데 입을 막은 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이렇게까지 생각하는 이유는 학교에서의 국어시간의 영향도 있겠지만 왠지 이 책만은 그런 의심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그저 거친 바닷사람과 고래, 그리고 서른이 넘은 노처녀 피디. 이들의 삶이 과연 윤택했을까? 내가 보기엔 세상에서 가장 위태로운 사람들 같다. 삶은 위태로운 것이라 한다. 하지만 삶에서 위태로운 사람들이 모여 만드는 이야기에는 꼭 속에 이야기를 담아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을 하는 이유도 학교에서 국어시간에 글의 겉이 아닌 속의 내용을 이해하라 배웠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이해하고 싶었지만 모든 걸 다 이해할 순 없었다. 모든 걸 다 이해하면 내가 인간이 아니라 신이지 않았겠는가? 그래서인지 이 책에 대해선 다시 한 번 연구해 보려고 한다. 그래야 이해할 수 있으리라.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마음에 들지 않았던 건, 월경이야기나 강간하려 했던 남자 등이다. 그리고 경찰의 반응까지. 솔직히 말해 눈살이 찌푸려지는 것보다 거북하다는 게 맞는 말인 것 같다. 현실에 너무 엮어 생각하는 거라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소설 속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모방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영화를 보고 모방하는 것도 많지 않은가? 그러므로 이것을 소설의 한 부분으로 생각지 말고 한 번 더 생각하고 넣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