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픽처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을 찾는다.’

이 내용이 이런 결말을 가지고 오리라는 생각은 하지도 못했다. 결국 죄 값을 치르긴 하지만. 그런데 이렇게 사람을 죽임으로 인해 이루게 될 줄이야. 솔직히 좀 충격적이랄까? 상황에 맞게 사람을 바꾼 벤. 그에게 있어 게리를 죽인 게 단지 우연이었을까? 정말로 아내의 바람으로 죽인 걸까?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벤은 게리에게 열등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잘나가는 월스트리트 변호사, 두 아이의 아빠, 예쁜 아내. 자신의 꿈은 한 낮 호화스런 취미가 되어버린 현재의 상황. 자신의 꿈을 쫒아 언제나 퇴짜 맞지만 사진을 업으로 살아가는 게리. 비아냥대고 다른 사람에게 욕을 먹지만 그가 대단한 건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것. 그것이 벤이 열등의식에 빠지게 하기 충분한 것 같다.

게다가 자신의 부인이 게리에게 처음 사귈 때와 같이 웃어주는 걸 본다면? 자신에게는 냉랭하기 그지없는 그녀가 말이다. 아내의 바람은 기폭제가 되었을 것이다. 그래, 누구나 그런 상황을 본다면 돌아버리겠지.

그런데 문제는 열등의식의 기폭제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것이 살인으로 나타나고, 벤은 게리를 없애고 게리로 살게 되었다. 그의 스펙 안에 벤은 숨어버렸다. 고속도로를 미친 듯이 돌아다니고, 신문을 훑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찾으며 종결되기를 기다릴 때까진 벤은 남아 있었다.

우연히 몸을 던져 찍은 사진 덕에 일약 스타덤에 오른 벤. 이때부터 정말 게리가 되어버린 벤. 게리가 이루고 싶고, 벤도 이루고 싶던 꿈을 이루게 되었다.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애인과 주정뱅이 진상 칼럼니스트와 엮이니 이 뭣 같은 조화 속에서 벤은 잘도 버틴다.

그러다 다 알아버린 주정뱅이 진상 칼럼니스트. 실랑이를 벌이다 주정뱅이 진상은 그 자리에서 사망, 자신만 살아남았다. 명도 질기다. 게리를 죽였던 때처럼은 아니지만 게리도 죽어버렸다. 어이없게 그는 호적에 ‘사망’이라 찍혀있을 것이다.

이렇게 액자 식 구성을 가지고 있는 이 책은 가장 악독한 짓인 살인을 통해 하고 싶은 일을 이루게 되었다. 다른 사람의 이름을 빌렸다는 게 문제긴 하지만 말이다. 벤이 카메라 뒤에 숨어 뷰파인더에 숨어있 듯.

어떻게 보면 그를 비난할 수 있는 건 어떤 것일까? 한 번쯤은 자신은 이런 일을 이루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지 않는가. 그것을 이룬 벤은 아마 후회는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플 것이다. 자신의 가정이 해체된 것, 그것이 교도소에 가는 것 보다 더 큰 형벌이 아닐까?

자신의 꿈을 이룬 대신 깨져버린 가정. 그를 보면, ‘불쌍하다’라는 말이 절로 나올 것이다. 현재에선 가장 불쌍한 남자가 되어버린 벤. 그를 이해하고 싶다면 꼭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