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 콜린 피셔
애슐리 에드워드 밀러.잭 스텐츠 지음, 이주희 옮김 / 시공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의 어느 학교에서도 반입해선 안 되는 물건이 있다. 학교는 안전한 곳이라는 인식과 학생이 모여 있는 곳이기에 보호의 기능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 사람이 모여 지내는 곳인지라 그리 안전한 곳이라 할 수 없다. 학교라는 곳도 인간이 모여 지내는 곳, 나의 안전은 내가 지켜야 한다. 그저 삐그덕대며최소한의 안전 속에서 지내고 있을 뿐이다.

이 책의 주인공 콜린 피셔는 아스퍼거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지만 다행인 건 음울한 학생은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에 넘치는 관심과 관찰력을 파란 노트에 적으며 적절히 조절해 지내고 있었다. 그 또한 삐그덕대는 안전에 균형을 맞추는 일은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다 가끔 그 균형이 깨져버리는, 정확히는 빼앗기는 경우도 있지만 그 나름대로는 꾸역꾸역 잘 집어삼키고 맞추어 나갔다. 부모님도 아는 눈치이지만 그저 무던한 아들의 모습에 할 말은 많지만 꾸욱 삼켜버린다.

그러던 어느 날, 학교에서 이 균형은 무너지고 만다. 학교 안에서 총이 나왔다. 서두에서 반입해서는 안 되는 물건이 등장한 것이다. ‘이건 누가 들여온 걸까?’ 콜린의 균형도 무너지며 그의 넘치는 관찰력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되었다.

처음 읽을 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쓴 책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책을 읽으며 학교라는 소재는 곧, 청소년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좋다고 생각한다. 나와 가장 가까운 소재이니까. 게다가 학교를 대상으로 한 소설은 많았다. 그러나 이 책이 재미있던 건, 아스퍼거 장애를 가진 학생을 주인공으로 삼았단 점이다. 우리나라에서 장애를 가진 주인공을 세우면 꼭 뭔가를 극복해 나가는 게 많았다. 쉬 어울리지 못하고, 그저 불쌍한 사람 취급이라는 게 한 편의 의견일지 모른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자신이 조사도 하고, 생각도 하고, 다른 이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빈도가 더욱 높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장애는 느껴지지 않았다. , 작가는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