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의 제국 ㅣ 도코노 이야기 1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온다 리쿠의 [빛의 제국]은 온다 리쿠라는 작가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색채의 향연이다. 원래 온다 리쿠는 이미지를 그려내는 데 능숙하지만 이 [빛의 제국]은 장기인 이미지 보다는 여러 색을 칠한 유리조각을 이어붙인 스테인드 글라스처럼 여러 변주를 통해 도코노와 인간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마치 빛의 스펙트럼같다.
한 작가가 평생에 걸쳐 써낼 수 있는 이야기 보따리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빛의 제국]에 실린 각 단편은 그 다음 이야기로 무한히 이어질 수 있는 씨앗을 그 안에 담고 있다. 그만큼 자신있게 이 단편집에 자신의 모든 것을 힘써 담았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커다란 서랍>
책의 내용을 무한대로 암기할 수 있고('넣어두기'), 사람이나 사물과 닿으면 그 이력을 눈에 볼 수 있고 그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울리기') 능력을 가진 하루타 가족. 온다 리쿠가 맨처음 쓴 단편이며 쓸 당시에는 연작이 될 거라고 예상을 못했다고 한다. 결국 '울림'이 없는 '넣어두기'는 의미가 없다는 것을 미쓰노리는 깨닭게 된다.
이 하루타 가족의 선조가 나오는 이야기가 도코노 연작의 두번째 이야기인 [민들레공책]이다. [민들레공책]은 신문물이 밀어닥치며 열강이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는 1900년대의 신세기를 배경으로 하여 주어진 환경에서 사람으로서 이웃과 더불어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눈물겹도록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민들레공책]이 마음에 든다. 또한 미쓰노리의 누나인 기미코는 <역사의 시간>에도 모습을 드러낸다.
<역사의 시간>
하루타 미쓰노리의 누이인 하루타 기미코와 그의 급우 아키코가 주인공. [빛의 제국]에서 가장 선명한 색깔로 씌여진 단편. <두 개의 찻종>의 미야케 아쓰시도 등장하며 아키코는 [검은 탑]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검은 탑>
결국 아키코는 자신이 도코노 일족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인간은 홀로 떨어진 외딴 섬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 간섭하는 존재다. <두 개의 찻종>과 연결됨.
<두 개의 찻종>
아마도 [빛의 제국] 가운데서 밑줄이 가장 많이 그어질 수 있는 단편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해야할,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가 하고 묻고 있다. 미야케 아쓰시가 아내 미야코를 만나는 이야기.
<다루마 산으로 가는 길>
[만요슈]의 한 구절을 정서의 축으로 인생의 기로에서 해답을 찾기 위해 다루마산을 오른다.
<오셀로 게임>
적과 아군이 없고 선과 악도 없다. '뒤집지 않으면''뒤집어진다'. 산다는 것은 의지가 없는 백혈구가 세균을 먹어치우는 맹목적인 충동일 지도 모른다. 9.11 이후 백과 흑으로 사물과 사태를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고 온다 리쿠는 말하고 있다. 하이지마 모녀 이야기는 도코노 연작의 세번째 이야기 [엔드 게임]으로 이어진다. '뒤집힌' 남편과 어머니를 되찾기 위한 딸의 이야기, 그리고 두들기고, 빨아서, 희게 만드는 '세탁소'가 등장한다. [엔드 게임]의 주제의식은 강렬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높은 점수를 주기에는 불만스럽다.
<편지>
간주곡과 같은 단편. '두루미(쓰루) 선생'이 등장한다. 도코노 사람들의 숨어있는 능력을 편지를 통해 보여준다.
<빛의 제국>
장수족인 두루미 선생과 도코노 어린이들과의 생활. 아이들은 사회에서 가장 다치기 쉬운 존재이다. 뮤즈인 미사키는 <국도를 벗어나>에 다시 등장한다. 분명히 다른 시대 사람이지만 동일 인물이다.
<잡초 뽑기>
도코노 연작으로 씌여진 것이 아니라 나중에 단행본으로 묶을 때 포함시켰다. 매일매일을 소중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잡초가 돋아나지 않는다.
<국도를 벗어나>
모두 도코노로 돌아간다. 거기서 두루미 선생이 일족과 함께 기다리고 있다.
각 단편이 서로를 끌어 당기고, 서로를 품고 있어 다 읽어보아야 전체 모습이 보인다. 아직 읽어보진 못했지만 도코노 연작은 제나 헨더슨의 [피플 시리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단편집이라 일관된 주제 의식은 약하지만 각 악장에서 은은히 울려나오는 소리는 작지만 감동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