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
김진명 지음 / 해냄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김진명씨의 소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언제나 고만고만한 스토리, 애국심에 호소하고 억지로 감동을 주려 하다보니 유치하기까지한 스토리전개 그리고 무엇보다도 소설을 쓰기위해서 우리 나라의 국제정세를 묘하게 왜곡시키는 모습이 눈에 거슬린다. 소설이니 어차피 허구인데 뭐 어떤가? 하는 생각은 위험하다. 책이라는 것은 TV드라마나 영화와는 소비자에게 다가오는 느낌이 다르다. 책이라는 것은 같은 내용이라도 소비자들은 좀더 사실에 가깝다고 느끼게 마련이다.

TV하면 바보상자라는 말을 많이 듣고 책하면 똑똑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교육을 어릴때부터 계속해서 받아왔기 때문이다. 특히 역사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온 책은 읽는 독자에게는 '아, 이것이 우리나라가 처한 혹은 처했던 현실이구나'하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만큼 사실적으로 묘사를 해야하고 철저한 고증을 거쳐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어떤가? 우선 이희소박사에 관한 점을 살펴보자. 그 분은 핵폭탄과는 거리가 있는 분이다. 핵물리학이 아닌 양자색역학을 연구하던 분이고 또 핵폭탄은 줄여야한다고 주장하신 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분이 핵폭탄개발에 참여했다는 것 부터가 말이 안된다. 핵폭탄에 관한 기초과학적인 메카니즘은 박정희정권때는 완성되고도 한참 지난 상태였다. 그런데 핵폭탄계발에 그 분이 참여했다니. 이건 건물짓는데 물리학자가 참여한다는 것과 다름아니다.

다음은 일본과의 관계이다. 이 소설을 보면 박정희대통령이 마치 일본을 견제해서 핵폭탄을 만드려 한 것처럼 나오는데 과연 그럴까? 박정희대통령이 핵폭탄을 계발하려 한 이유는 바로 주한미군의 철수움직임때문에 북한을 견제하려고 한것이다.

소설이야 원래 허구이지만 역사소설이라면서 이런식으로 역사를 왜곡시켜서 보여준다면 위험한일이 아닐까 생각한다. 김진명씨의 소설은 읽어보면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독자들의 애국심을 묘하게 자극해서 책을 팔아보려는 상술이 돗보인다. 아직 역사관과 사상이 바로 서지 않은 청소년들이 이 책을 읽으면 어떤 영향을 받을지 약간 걱정이 된다. 괜히 반미, 반일 감정만 잔뜩 생기는 것이 아닐지.. 그리고 그것이 애국심이라고 착각하게 되지는 않을런지... 특히 요즘처럼 반미감정이 극에 달했을때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밴드 오브 브라더스
스티븐 E. 앰브로스 지음, 신기수.박순채 옮김 / 디지틀엠에프에스(디지틀MFS)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얼마전 군에 다녀온 후 어떤 잡지에서 이 책에 관해 쓰여져 있는 것을 보았다. 참전용사들의 인터뷰를 통해 책이 쓰여졌다는 점이 맘에 들어서 사 보았다. 군에는 다녀왔지만 전쟁에 관한것은 아무것도 모르는 터라 호기심이 생겨서였다. 물론 플래툰이나 라이언일병구하기 같은 전쟁영화를 많이 보았지만 책으로 읽는 것 특히 이 책과 같은 실화를 쓴 책으로 읽는 것은 새로운 느낌일 것 같아서 보게 되었다.

처음 책을 보았을 때 느낌은 글자가 참 많다는 것이었다. 한 페이지의 글이 다른책보다는 훨씬 많을 것 같았다. 그리고 실제 사진들도 많아서 현실감을 증폭시켜 주었다.
참혹한 전쟁속에서 사람들간의 관계, 우정, 죽음 등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모든 것이 이 책에 담겨있었다. 사랑과 죽음등을 다룬, 문체도 훨씬 뛰어난 여타의 책보다도 이책이 더욱 더 마음에 와 닿는 것을 느꼈다. 아마 실제 참전용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 같다.

요즘은 비디오테잎으로 HBO에서 만든 '밴드오브브라더스'를 열심히 감상하고 있다. 혹시 누군가가 참혹한 전쟁속에서의 인간의 모습을 간접체험해 보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의 종말
존 호건 / 까치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과학의 종말이라... 공대생으로서 제목이 마음에 와 닿길래 사 보았다. 만약 제목대로의 사건이 일어난다면 내 밥줄이 달랑거릴수도 있는 일 아닌가? 다 읽고 나서의 생각은 글쎄. 이 책의 제목이 왜 과학의 종말이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별로 그렇게 과학에 대해 비관적이지도 않은 것 같고. (물론 약간은 미래의 과학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내어 놓기는 했지만)

또한 앞으로의 과학이 세부적인 내용을 약간만 추가할 것이라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 할 수도 없다. 물론 현재까지 나온 양자역학과 유전자공학등이 과학이론의 정점에 있는 것이라면 저자의 말처럼 상대성이론같이 패러다임의 변혁을 가져오는 발견이 일어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발견이 패러다임 변혁의 마지막이라는 것은 작가의 오만이 아닐는지. 그리고 수많은 과학자 역시 그에 동의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저자의 또 한가지 주장. 과학이 스스로 인간의 한계를 긋고 있다는 주장에도 동의할 수가 없다. 불확정성의 법칙과 상대성이론, 카오스이론등에서 인간의 한계가 과학이론에서 스스로 설정하고 있다는데 사실 불확정성의 법칙이 있기때문에 그걸 이용해서 터널다이오드등의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이 현실아닌가? 그리고 다른 이론의 발견으로 인해 위의 이론이 뒤집어질수도 있다는 것을 저자는 망각하고 있는 듯하다. 사실 수백년간 진리로 받아들여졌던 뉴턴의 역학도 20세기 초반에 많이 수정되지 않았던가?

저자가 수많은 과학자들을 찾아다니면서 교양과학서적으로써 좋은 책을 쓴 점은 박수를 보내고 싶다. 허나 내용에서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는 점으로 만든 파격적인 제목에서 장삿속이 드러나 보이는 것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상천하 1
Oh! Great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3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을 보고 쓰레기라는 분이 많은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우선 만화의 특징인 그림. 상당히 괞찮다. 그리고 줄거리역시 앞부분만 보고 쓰레기로 치부하면 안 될 것이다.

사람들간의 이레저레 얽힌 모습을 서서히 풀어주는 과정은 마치 베르세르크 못지 않은 정교한 스토리라인을 보여주는 것 같다. 물론 아직 7권까지밖에 못 보았으니 속단은 금물이겠지만...앞으로의 줄거리가 어떻게 이어질지 궁금하다.

단순한 학원폭력물로 치부하기에는 아까운 만화. 그리고 그림과 내용모두가 매우 충실한 만화. 이것이 내가 이 만화를 보고 평가할 수 있는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얀 로냐프 강 1 - 바람이 꾸는 꿈
이상균 지음 / 자음과모음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판타지소설이라고 하면... 요정이 나오고 칼과 마법이 빗발치는 그런 장면이 연상된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런 소설이 판타지소설의 주를 이루어 왔다. 나도 그런 판타지 소설만을 읽다가 식상해 하던차에 이 작품을 읽게 되었는데 서정적인 내용과 장면, 대부분이 해피엔딩인 여타의 판타지와는 다른 줄거리 등 진부한 내용이지만 매우 재미있게 읽었다. 비슷비슷한 판타지소설에 식상한 사람들에게 이 소설을 권한다.

귀족과 천민의 사랑, 그리고 마지막에 남자를 따라서 자살을 택하는 여인의 순종적인 사랑. 정말 진부하고 신파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그런것이 상당히 아름답게 느껴진다. 작가의 뛰어난 능력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가끔씩 억지같은 전개가 있지만 그런것은 그냥 봐 줄만 한 정도이다. 속편을 쓸 것이라고 하는데 언제쯤 나올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