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 92 | 9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게으름에 대한 찬양 - 개정판
버트란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셀의 게으름에 대한 찬양을 읽어보고 작가의 인류에 대한 깊은 애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러셀은 자본주의 초기부터 전성기에 이르는 1970년대 까지를 산 자본주의 역사의 산 증인입니다. 당시에 대부분의 지식인들은 과학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 빈곤과 그로 인한 사회갈등이 저절로 해결될 것이라는 막연한 환상에 사로 잡혀 오로지 과학과 기술에 경도되 있었습니다.

하지만 러셀의 이 책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현대 사회는 발전할 수록 더욱더 다수의 인간이 고통당하게 되는 구조가 형성될 것이라는 통찰을 하고 이에 대한 반대로 게으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였 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2010년이후 정보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할 것입니다. 즉, 한병철이 저술한 "피로사회"란 책에 보면 최근의 긍정성 때문에 개인은 탈진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우울증이 극에 달하게 된다고 통찰하는 바, 이는 러셀이 주장한 게으름이 현대인의 생존의 필수 덕목임을 알게 해 주었습니다.

또한 지그문트 바우만이 지은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에 보면, SNS에 의해 과잉연결된 현대인들은 고독을 외면하고, 항상 분주함으로 인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도, 러셀의 주장이 더욱 실감나게 다가오게 합니다.

 

이러한 논의 들에 비추어 볼때 긍정성과 자기 착취가 만연하게된 현대 사회에서는 게으름에 대한 권리내지는 요구가 현대인의 우울증을 해소할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이야기
윌 듀런트 지음, 정영목 옮김 / 봄날의책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최근에 읽고 있는 책이 이 책 윌 듀랜트의 철학이야기 입니다. 윌 듀랜트는 문명이야기 라는 책시리즈로 이름이 난 작가인데, 그의 통찰력은 이 책 철학이야기에서도 예리하게 빛이난답니다.

 

기존의 철학책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너무 현학적이고 언어 자체를 추상적으로 사용하여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불행히도 전공자를 위한 책이 그의 대부분이고, 정확성과 엄밀성이 생명인 철학에서 함부로 의역을 할수 없어서인지 성인을 위한 쉽고 알찬 철학입문서가 매우 드문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이책은 철학자를 중심으로 철학자의 모든 면모를 고르게 살필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것입니다. 이 책으로 서양철학사의 주요 철학자의 사상을 공부한 후, 자신의 철학을 세울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철학 분야를 정해서 공부해 보신다면 좋은 결실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 책은 사회철학 내지는 경제철학에 대한 내용의 상당한 부분이 누락되어 있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다가옵니다. 산업화 이후에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탁월한 분석을 했던 철학자들은 그 노력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점은 이 책의 단점입니다. 또한 백과 사전식 서술이기 때문에 쟁점들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결여되 있는 점도 책의 분량에 비해 아쉽다고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철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고, 철학을 단순한 지식으로 전달하여, 실생활과 철학적 사유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아쉬운 점이라고 할 것입니다.(참고로, 이 점은 김상봉의 '호모 에티쿠스'란 책은 좋은 보완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티카를 읽는다 철학의 정원 18
스티븐 내들러 지음, 이혁주 옮김 / 그린비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피노자에 대한 좋은 해설서가 나와 정말 반갑습니다.

 신이 무엇인지에 대해 차분하게 서술해 놓은 것을 읽다보니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현실에서 흔히 만나는 인격신의 관념의 허구성에 대한 스피노자의 분석은 정말 이 책의 압권입니다. 현재 우리 사회가 많은 논쟁과 갈등을 빚고 있는데,  그 중심에 종교가 놓여있다고 할 것입니다. 우리 나라는 전통적으로 샤머니즘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무당이나 철학관으로 상징되는 무속의 전통이 강합니다. 이러한 과거의 영향으로 여전히 비합리적이고 감성적인 기복의 종교, 보편적 사랑이라는 신 자체와는 동떨어진 종교로 흐르는 경우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스피노자는 이런 인간의 바램이 낳은 종교와는 상이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보편적인 신을 지향하고 이를 논증하기 위해 독특한 공리라는 형식을 이용합니다. 스피노자의 학문에 대한 엄밀한 태도는 그의 사상 전반에  반영되어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일체를 배격하고 있습니다.   

 

진리를 향한 스피노자의 구도적 삶이 정말 아름답게 그려져 있습니다. 유대교 공동체로부터 파문당하고도 자신의 의견을 굽히지 않고 렌즈를 만드는 기술자로서 자신의 소명을 다하는 스피노자의 청정한 삶은 진리를 추구하는 구도자에게 좋은 본보기가 된다고 할 것입니다. 벌써 300년전에 세상을 떠났지만, 오히려 현대인들 보다 더 냉철하게 신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한 스피노자의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이야기
윌 듀런트 지음, 정영목 옮김 / 봄날의책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강추합니다. 철학에 대한 좋은 입문서입니다. 곁에 놓고 참고로 하기도 좋고, 어려운 철학이 이렇게 쉽게도 전달될 수 있구나 하는 느낌의 책이라고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417년, 근대의 탄생 - 르네상스와 한 책 사냥꾼 이야기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이혜원 옮김 / 까치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중세의 사회와 문화를 잘 알 수 있을 뿐만아니라, 종교개혁을 전후한 배경을 상세히 알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은 서구 자본주의의 정신적 토대이므로, 이 책을 읽는 것은 현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초석을 놓는 것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91 | 92 | 9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