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러: 원래 ‘팔꿈치로 슬쩍 옆구리를 찌르다‘라는 뜻인데요, 행동경제학에서는 ‘타인의 똑똑한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죠.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의 남자화장실 소변기 중앙에는 파리 한 마리가 그려져 있어요. 이게남자의 승리욕을 자극하나 봅니다. 이 표적을 맞히려다 보니 소변기 밖으로 튀는 소변량이 80퍼센트나 줄었다는군요. 이게 바로 넛지입니다. 금지나 명령이 아닌 부드러운 개입! 데닛: 그거 참 기발한 발상이네요. 예전에는 "한 발 앞으로"와 같은 명령조문구였다가 최근에는 "성숙한 시민은 머문 자리도 아름답습니다"와 같이 부드러워지긴 했는데, 그게 어디 문구가아름답다고 잘 지켜질 일인가요? 소변기에 파리 그림이라니 정말 참신해요. 설마 거기에 "파리를 조준하시오"라는 문구는 없었겠죠. 하하. 탈러: 이런 넛지들은 전문 용어로 ‘자유주의적 개입주의‘라 불립니다. 인간의 본성을 이용해 부드럽게 간섭하지만 여전히 개인에게 선택의 자유를 준다는 뜻이죠. 가령 학교 주변 도로에 "속도를 줄이시오"라고 명령하는 것은 넛지가 아니지만, 과속방지턱을 만들어놓는 것은 넛지입니다. 자기 차를 망가뜨리고싶은 운전자는 없잖아요. - P150
다윈이 <종의 기원> 초반부에서 비둘기사육사 개 육종사들의 입을 빌려 변이에 관해 얘기했던 것은그만한 문화적 배경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당시 영국 사회에서는 육종이나 애완동물 품평회가 대유행이었습니다. 그래서 인공선택으로 만들어진 변이들에 대해 그야말로 누구나 관심이있었던 시대였죠 이런 사실을 배경에 깔고 다윈은 자연선택에의한 진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육종사들은 선택적 교배를 통해 몇 세대 만에도 자신들이 원하는 동물들을 만들어낼 수있는데, ‘하물며‘ 자연은 그 엄청난 세월 동안 이토록 정교하고 다양한 동식물들을 만들어낼 수 없겠는가?" 이 위대한 유비 - 저는 이것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물며‘라고 합니다 - 만는 당대의 유행과 문화를 사려 깊게 활용한 경우라 볼 수 있습니다. - P201
그는 <빈 서판》, 원문으로는 TheBlank Slate라고 하는 책에서 17세기의 철학자 로크 이후로 오늘날까지 맹위를 떨치고 있는 인간 본성에 관한 이른바 ‘백지‘ 이론을 본격적으로 비판했습니다. 그는 인지신경학, 행동유전학, 진화심리학이 밝혀낸 놀라운 반대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많은지식인들이 ‘빈 서판‘, ‘고상한 야만인‘,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세 가지 독단에 빠져 허우적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여기서 ‘빈 서판‘이라는 말은 마음에는 타고난 특성이 없다는 것이고, ‘고상한 야만인‘이라는 말은 인간은 선하게 태어나지만 사회 속에서 타락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 것은 우리 각자는 생물학적 제약 없이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영혼을 지니고 있다는 말입니다. 그가 이 세 가지 독단을 비판하는 요지는 이렇습니다. 우선지난 반세기 동안 ‘행동주의 behaviorism‘ - 인간의 마음을 블랙박스로 상정하고 자극과 반응의 관계만으로 이해하려던 사조-는 과학의 전 분야에서 축출되었다는 사실입니다. 둘째, 인간의 심성도 수렵 채집기의 진화적 적응 환경에 잘 적응한 것일 뿐 본래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 수많은 증거들에 의해 밝혀졌다고 이야기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최근에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는 뇌과학을 언급하면서 이제는 뇌의 작용과 정신 활동을 분리하여 이해하기는 힘들다고 말합니다. - P209
핑커에 따르면 언어, 추론, 수리, 짝짓기 능력 등은 수렵 • 채집기에 우리를 옥죄었던 적응 문제들을 해결하게끔 자연선택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계된 적응이고, 종교, 예술, 창의성, 유머 등은 다른 적응들의 부산물입니다. 그는 적응과 부산물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쉽게 설명합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딸기 치즈케이크를 좋아하는데 이것은 치즈 케이크를 좋아하게끔 미각이 진화했기 때문이 아니라, 달고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면 생존과 번식에 유리했던 수렵 채집기의 적응 부산물이라는 것입니다. - P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