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늙은 앵무새 한 마리가 그에게 해바라기 씨앗을 갖다주자 해는 그의 어린 시절 감옥으로 들어가버렸네 -자크 프레베르, 「새의 선물」 전문 - P5
프롤로그
열두 살 이후 나는 성장할 필요가 없었다
나는 쥐를 보고 있다. 어둠이 내리기 시작하면서 이 카페는 정원에 조명이 밝혀져 유럽풍의 화려한 실내장식과 함께 더욱 이국적인 정취를 자아냈다. 무심코 창밖을 향해 있던 시선 속으로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쥐가 들어왔다. 스테이크 한 조각을 입에 넣고 막 입술 사이로 포크를 빼내려는 참이었다. 처음에는 잘 손질된 정원수 사이로 뭉클뭉클 움직이는 저 더러운 잿빛 털뭉치가 무엇인가 싶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연한 수피에 쉴새없이 이빨을 갉작거리고 있던 쥐와 눈이 마주쳤던 것이다. 머리를 꺼덕일 때마다 그 반동으로 가지 꼭대기가 둔하게 휘청일 만큼 살찐 놈이었다. - P9
환부와 동통을 분리하는 법
내가 왜 일찍부터 삶의 이면을 보기 시작했는가. 그것은 내 삶이 시작부터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삶이란 것을 의식할 만큼 성장하자 나는 당황했다. 내가 딛고 선 출발선은 아주 불리한 위치였다. 더구나 그 삶은 내가 빨리 존재의 불리함을 깨닫고 거기에 대비해주기를 흥미롭게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어차피 호의적이지 않은 내 삶에 집착하면할수록 상처의 내압을 견디지 못하리란 것을 알았다. 아마 그때부터 내 삶을 거리 밖에 두고 미심쩍은 눈으로 그 이면을 엿보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다보니 나는 삶의 비밀에 빨리 다가가게 되었다. 엄마가 죽은 것은 내가 여섯 살 때라고 한다. 내게는 엄마에 대한 기억이 단 한 가지도 없다. 그래서인지 그리움도 없다. 엄마를 떠올리게 하고, 내게 엄마에 대한 그리움이 없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하는 것은 오히려 엄마의 존재를 한사코 감추려 하는 할머니이다. - P15
우리집 어른들은 모두 나를 귀여워한다. 장군이 엄마는 내가 부모 없이 외할머니 밑에서 자라는 것이 불쌍해서라고 하고 광진테라 아줌마는 공부를 잘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문화사진관 아저씨는 인사성이 밝아서 그렇다고 하는가 하면 또 뉴스타일양장점의 시다 미스 리 언니는 내가 속이 깊어서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어른들이 나를 귀여워하는 진짜 이유를 알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내가 자기들의 비밀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비밀을 저당잡혀 있기 때문에 그들은 나를 귀여워할 수밖에없다. 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그런 비굴함이 있다는 것을 진작에 알았다. 내가 어른들의 비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어린애이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해서 ‘어린애로 보이기 때문이다. 어른들은 자기들이 다루기 쉽도록 어린애를 그저 어린애로만 보려는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어린애로 보이기 위해서는 귀엽다거나 영리하다거나 하는 단순한 특기만으로 충분하다. 나처럼 일찍 세상을 깨친 아이들은 어른들이 바라는 어린이 행세를 진짜 어린이 수준밖에 못 되는 아이들보다 훨씬 더 그럴듯하게 해낸다. 그래서 어른들 비밀의 겉모습은 조금 엿봤을망정 그 비밀의 본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척 행동한다. 그것이 어른들을 얼마나 안심시키면서 또한 귀여움을 촉발시키는지 모른다. 비밀이란 심술궂어서 자기를 절대 보이기 싫어하는 것만큼이나 누군가와 공유되어지기를 간청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 P20
머리를 다 만지고 난 할머니는 기름기 자르르한 붉은 참빗의 빗살에 끼어 있는 머리카락을 훑어내고 왼쪽 오른쪽 어깨 위에서도번갈아 머리카락 몇 올을 집어낸 다음 그것들을 함께 말아서 뭉쳤다. 그러고는 머리 위로 흰 수건을 둘러 뒷목에서 매듭을 짓고는 비로소 자리에서 일어나는데, 오른쪽 손으로 오른쪽 무릎을 짚으며 끙 소리를 내고 일어설 때 보면 언제나 아래는 몸뻬 차림이었다. 할머니는 방문을 열고 나가기 전에 꼭 한 번은 이모와 내가 잠들어 있는 아랫목을 돌아보았다. 그리고 어쩌다 내가 눈을 뜨고있음을 알아차렸을 때는 더 자라는 표시로 오른손을 들어 가만히위아래로 흔들었다. 마치 허공에 누워 있는 아기를 토닥이는 것같은 몸짓이었다. 그러면 나는 살그머니 방문을 열고 할머니의 뒷모습이 빠져나간 뒤 그 문틈으로 스르르 들어와서 방안을 한 바퀴 휘둘러보는 여명을 어렴풋이 느끼며, 아침 준비를 끝낸 할머니가 깨우러 올 때까지 다시 잠 속으로 들어가곤 했다. 나에게 있어이 모든 것은 아침을 시작하는 평화로운 습관이었다. 그런데 장군이의 책 읽는 소리 때문에 그 평화가 깨진 거였다. - P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