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한 건 MAOA 대립유전자와 폭력성 사이의 연결고리뿐이었다. 아직까지 유전자와 사이코패시 사이의 진정한 연결고리는전혀 밝혀지지 않았다. 나는 사례연구를 전부 살펴보았다. 독재자를 포함해 모든 사이코패스가 어릴 때부터 ‘정신병자‘라는 소리를들었으며, 하나같이 학대를 받았고, 생물학적 부모를 한쪽 이상 잃은 경우가 많다는 걸 알게 되었다. 어릴 때 학대를 받았다는 사실을 부인한 예도 있었지만, 나중에 알고 보면 그 사실을 인정하기가너무 창피했거나 가족의 일원인 가해자를 감싸기 위한 것이었다. 수감된 사이코패스 중 유아기에 신체적·감정적 학대나 성적 학대를 당한 사람이 많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청소년 사이코패스 범죄자 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70퍼센트가 어린 시절 내내 심각한 학대를 받았다고 답했다. 어린 시절에 대한 믿을 만한 기억이 기껏해야 서너 살 이후에야 시작된다고보면, 이 결과는 더 높은 비율의 성인 사이코패스 범죄자들이 자신이 기억하는 것보다 일찍부터 상당한 학대를 경험한다는 의미를함축했다. 그렇다면 이들 중 90퍼센트 이상이 생애 초기의 한 시점에 학대를 당했을 수도 있다. 나는 여기에다 가해자를 감싸는 사이코패스들을 더하면, 사이코패스 중 어린 시절에 학대를 받은 비율은 거의 99퍼센트에 육박할 수도 있다고 추론했다. 내가 범죄자가 아닌 이유를 생각하기 시작한 게 바로 이때다. 살인자들은 학대를 당한 적이 있었고 나는 그런 적이 없었다. 우리를 만드는 건 양육이 아니라 본성이라는 나의 신념에도 불구하고, 나는 ‘어떻게 키우느냐‘가 결국은 범죄자를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 P125
후성유전학적 꼬리표는 환경적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많은 유전부호 변경 가운데 하나다. 또 이것이 바로 본성과 양육의 상호작용 바탕에 있는 핵심 기제 중 하나다. 후성유전학적 상호작용이 대사, 암 그리고 전염병 발병에 어떤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최근에 수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후성유전학적 상호작용은 조현병부터 사이코패시에 이르는 정신장애를 이해하는 열쇠이기도 하다. 내가 진로를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영화 <찰리>에서 내가 좋아하는 장면은 주인공이 자신의 교사 겸 치료사의 칠판으로 가서 ‘that that is is that that is not is not is that it it is‘라고 쓰고는 그녀에게 이게 무슨 말이냐고 묻는장면이다. 그녀가 해독하지 못하자, 주인공은 칠판으로 가서 구두점을 찍는다. That that is, is. That that is not, is not. Is that it? Itis.‘ (있는 건 있어. 없는 건 없고, 이제 됐어? 그래.) 이 수수께끼는 후성유전체 epigenome 가 무엇인지 훌륭하게 비유해준다. 이 비유에서 원래의 DNA 염기쌍 부호는 ‘thatthatisisthatthatisnotisnotisthatititis ‘이고, 서열을 배열하는 방식은 부호가일련의 단어로 전사되게 지시하지만 딱히 문장이 되게끔 지시하는 건 아니다. 보통 DNA에서 RNA로 전사된 메시지는 단백질로, 여기서는 빈틈없고 상식적인 문장 ‘That that is, is. That thatis not, is not. Is that it? It is‘로 번역될 것이다. 하지만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들이 원래 유전된 DNA의 일부에 후성유전학적 꼬리표가 첨가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구두점, 띄어쓰기, 일반적 문형을 바꾸어 약간 다른 의미를 생산할 수 있다. "That that is, is. That that is not, is not. Is that it? It is?‘ (있는 건 있어. 없는 건 없고, 이제 됐어? 그래?) 단어들도 같고, 순서도 같지만 마지막에 첨가된 물음표가 메시지의 취지를 바꿔놓는다. 문장이 의도한 ‘유전적 의미에 가해진 이 약간의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돌연변이와 다르다. 돌연변이에서는 글자가 하나 이상 추가되거나 기존 글자가 삭제됨으로써 문장의 실제 철자가 바뀐다. 물론 그러한 변화는 문장의 기능을 근본적으로 변질시킬 수 있어서, 문장은이제 이처럼 될 것이다. That that is, is. That that is not, is snot, Is that it? It is. (있는 건 있어. 없는 건 콧물이고. 그게 다야? 네.)다시 말하면 유전체는 당신이 태어날 때 물려받은 책이고, 후성유전체는 당신이 그 책을 읽는 방식이다. - P128
후성유전체가 작동하는 가장 흔한 모습은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이 히스톤이라 불리는 단백질 실패에 감겨 있는 DNA 실들을 감쌀 때 볼 수 있다. 스트레스 요인은 메틸 methyl과 아세틸 acetyl 이라는아주 작은 작용기 functional group들을 유전자에 덧붙일 수도 있고 유전자에서 떼어낼 수도 있다. 이 작용기들은 DNA 가닥에 들러붙는작은 원자단atomic group 일 뿐이지만, 그러한 변경은 어떤 유전자가 읽힘으로써 맡은 일을 수행하는 능력을 멈추거나 늦추거나 재촉할 수 있다. 한 유전자의 행동이 바뀌면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양이 바뀌므로 뇌 회로 안의 신경전달물질 균형이 바뀌고 결국 사고, 감정, 행동이 바뀐다. 사고, 감정, 행동이 바뀌는 것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서 주요 초점이고 본성-양육 문제를 이해하는 열쇠다. 메틸기와 아세틸기를 덧붙이는 주된 환경적 자극중 하나가 스트레스고, 이러한 자극에는 학대, 출생 전 산모의 불안, 마약, 일부 식품이 원인이 된다. 스트레스로 인해 호르몬의 일종인 코르티솔 cortisol이 방출되면, 코르티솔이 메틸기와 아세틸기를 주는 분자로부터 메틸기와 아세틸기를 받아서 DNA로 옮긴다. 이러한 첨가가 사이코패시의 병인을 이해하는 열쇠다. - P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