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어느새 누구도 그 영역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치않는 튼튼한 그물이 되어 있었다. 이 그물은 질기고 촘촘했다. 어둑신한 찻집 귀퉁이나 밤늦은 시간의 기숙사에서 정치는 신학이라는 이름을 달고 신학생들을 사로잡았다. 대체로 소곤거렸지만, 때로는 자기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정치는 시대가 우리에게 던진 화두였다. 그것을 통해 구원에 이를 수 있다는 환상이 시대를 지배했다. 사람들은 그 화두를 풀려고 필사적으로 매달렸다. - P224

종교는 신념과 믿음의 영역이다. 그 안에 나름대로의 체계가 없는것은 물론 아니다. 그 무엇보다 정교한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그 체계는 엄밀하게 말해서 주관적인 것이다. 절대적 신뢰와 전적인 헌신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것 없이 신앙인의 반열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을 나는 알지 못한다. 특정한 종교에 몰두한다거나 그렇지 않다고 할 때에는, 이 전제가 지켜지고 있다. 요컨대 자신의 신념과 믿음을 바칠 수 있다거나 또는 그럴 수 없다는 차원인 것이다. 그 과정에서 신과 인간, 영혼과 육체, 하늘과 땅사이에 갈등과 회의가 생기고 반항과 구원의 드라마가 탄생한다. - P234

이러한 사유 안에서, 그의 지반(地)은 그 자신이 아니다. 안타깝게도 신과 같은 어떤 초월적인 존재도 아니다. 그녀이다. 그러면 그녀는 이 남자로부터 이만한 떠받듦의 대상이 된 그 여자는 행복한가? 그렇게 말할 수 없다. 그에게 그녀는 완벽함의 이데아이다. 그런데 그런 것은 불가능하다. 누가 완벽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까 그녀는 허상일 수 있다. 그가 만든 완벽함의 허상. 그가 보고 바라고의지하고 꿈꾸는 그녀는 실체가 아니다. 그는 자신의 머릿속에서 창조해 낸 완벽한 여자를 그녀에게 투사했을 뿐이다.
이 명제는 매우 중요한 한 가지 사실을 경고한다. 그를 받치고 있는 이 인공의 지반이 허물어져 버리면 그의 존재 자체가 일시에 위협받게 될지 모른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그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기위해서 그녀는 절대자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녀는 그럴 수 없으므로, 완벽함은 그의 꿈이므로, 이 지반은 언제든 허물어질 위험을안고 있다. - P2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