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바이러스는 어떻게 우리 인간을 감염시키게 되었을까? 동물과가까이 사는 사람들은 많은 병원균들에게 숙주를 바꿀 기회를 준 셈이었다. 과거 어느 시점에 독감 바이러스는 직접적으로 혹은 매개 숙주를 통해 조류에서 사람에게로 뛰어들어 왔다. 돼지의 몸은 바이러스의 ‘혼합 공장‘으로 불릴 정도로 바이러스가 잘 섞이는 장소이다. 돼지가 독감 바이러스를 받아들이는 문(수용체)이 사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사람들, 가금류, 그리고 돼지들이 가까이 모여 사는 곳이 바로 중국의 시골이다. 주요 독감의 범유행이 대부분 기기에서 시작된 것은 놀랄일이 아니다. 1918년 스페인독감도 중국에서 발원한 것으로 보인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참호를 파기 위해 수천 명의 중국 노동자들을 유럽으로 데려왔는데, 아마도 이들이 질병을 옮겼을 가능성이 크다.
- P104

대안은 없는 것일까? 내성은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특질이지만 대가를 치르게 한다. 항생제와 살충제 같은 압박을 제거하면 내성미생물들은 그들의 이점을 잃게 된다. 내성은 사그라진다. 문제는 우리가 자기 만족을 느끼고 방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태도를 바꿔야 한다. 야외에서 다시 모기를 박멸하고, 황열병,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와 말라리아 매개체인 모기가 번식할 수 있는 썩은 물을 없애야 한다. 병원에서는 더 기본적인 위생으로 돌아가야 한다. 엄격한 소독과 제멜바이스식 손 씻기를 실행해야 한다.  - P118

정말로 사람의 건강을 다루는 방식을 바꾸려면, 우리는 질병에 대해달리 생각해야 한다. 인간을 정복자로, 질병을 피정복자로 빗대는 방식은 미생물 기생충을 다루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미생물과 인간의 진화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는 고전동화 속에 나온 ‘붉은 여왕 이론‘이더 적합하다. 우리가 진화하면 병원체도 진화한다. 병원체가 진화하면우리도 진화한다. 항생제 같은 치료약이나 염소 같은 독소들은 우리를이런 포식자들에게서 잠시 막아 줄 뿐이다. 결국 미생물은 그것을 극복하고 진화한다. 그러면 후손이 다시 우리를 압박해 온다. 이런 식으로 돌고 도는 것이다. 루이스 캐럴의 동화 「거울 나라의 앨리스」 에서 붉은 여왕과 앨리스가 그랬듯이, 우리가 제자리에나마 머물기 위해서는 최선을다해 계속 달려야 한다.
십중팔구 항상 그래야 할 것이다.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