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기 전, 사람들은 타인의 성적 매력에대한 첫인상(즉, 피상적 판단)에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단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할 기회가 주어지면, 사람들의 판단은 각각 달라지기 시작하여 타인의 성격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어필하는 부분을 주목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타인의 매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이처럼 주관적인 사회적 지각은 신체적 외모보다 훨씬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폴 이스트윅과 루시 헌트 Lucy Hunt는이렇게썼다. "이러한 별스러움idiosyncrasy은 행운이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사람에게 ‘쌍방이 서로 독특한 이상형으로 간주하는 파트너 관계‘
가 형성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신체적 매력이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다른 사람과 사회적·성적 행복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얼마나 흐뭇한 생각인가! 짝짓기가치라는 것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척도가 아니라, 상호작용 경험에 입각한 주관적 척도다.
- P366
인간의 페니스는 두 가지 진화 메커니즘이 동시에 작용한 흥미로운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포유류가 체내수정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페니스가 생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있다. 그러므로 페니스의 존재와 유지는 자연선택에만 귀속될 수 있다. 그러나 페니스의 다양한 형태학적 측면을 살펴보면, 교미와 수정에 필요한 수준을 넘어선 부분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그 부분에는 성선택이 작용했을 공산이 크다.
- P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