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에서 회의는 지극히 중요한 일부이다. 나는 과학을 이렇게 정의한다. 과거나 현재에 관찰되거나 추론된 현상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해 고안되었고, 반박과 확증에 모두 열려 있는 시험 가능한 지식 체계를 구축할 목적을 가진 방법들의 집합, 달리 말해서 과학이란 주장들을 시험할 목적으로 정보를 분석하는 특유의 방식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과학적 방법을 정의하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
귀납: 현재 있는 데이터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끌어내어 가설을 만드는 일.
연역: 그 가설을 기초로 특정 예측을 하는 일.
관찰: 자연에서 우리가 찾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가설들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
검증: 더 많은 관찰을 토대로 초기 가설이 타당한지 예측을 시험하는 일.
- P52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자신이 물리학과 우주론에 기여한 바를 회고하는 자리에서 이 점을 강조했다. "새로운 이론을 만드는 것은 낡은 헛간을 헐고 그 자리에 고층 건물을 세우는 것과는 다르다. 그보다는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 산을 오르면서 새롭고 넓은 시야를 얻게 되면, 처음에 출발했던 지점과 그 주변의 각양각색의 풍경 사이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도 처음에 우리가 출발했던 지점은 여전히 존재하며, 시야에서 사라지지도 않는다. 비록 그 모습이 점점 작아지고, 장애를 극복하며 정상을 향하는 길에 얻은 넓은 시야에서 미미한 부분만을 차지할 뿐일지라도."(위버 1987, 133쪽) 비록 다윈이 특수창조의 자리에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를 놓긴 했지만, 새로운 이론에서도 린네의 분류법, 기술 지질학, 비교 해부학 등 기존것들의 상당수는 그대로 보존되었다. 다만 이 다양한 분야들이 역사속에서 진화론을 통해 서로 연관되는 방식은 바뀌었다. 다시 말해서 누적에 의한 지식의 증가와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과학적 진보이다. 과학적 진보란 시간에 따른 지식 체계의 누적적인 증가이며, 그 과정을 거치면서 시험 가능한 지식을 반박하거나 확증하는 방법을 통해 쓸모 있는 특징들은 보존하고 쓸모없는 특징들은 버린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