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한 개체군의 유전자를 분석할 때 항상 같은 현상을 발견한다. 원래 개체군보다 이들의 후손이 유전적 다양성 면에서 더 빈약하다. ‘창시자 효과‘라고 부르는 이 현상은 흔히 몇 안 되는 선구자가 이주를 시도하므로 발생한다. 이 선구자들은 원래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 가운데 극히 일부만 가져온다. 일단 한번 정착하면 이들은 자기들끼리 번식하니까 이들이 낳은 새로운 개체군은 유전적으로 초기 개체군보다 다양성이 더 빈약할 것이다. 창시자 효과는 연달아 이주할 때 한층 더 심해진다. 이때는 유전적 다양성이 이주하는 길에 점점 감소할 것이다. 호모사피엔스는 나머지 지구를 차지하고자 아프리카를 나왔지만 아프리카에서 멀어지면서 유전적 다양성이 점점 더 줄어들 수밖에 없었고, 연구자들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194

리벳이 실험으로 얻은 결과는 더 당혹스럽다. 운동 준비 전위는 움직이기 거의 1초 전에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우선 여기까지도 겉으로 보기에는 충격적일 게 없는데, 두뇌 활동이 명령을 내릴동작보다 선행하는 게 논리적이다. 더 당황스러운 것은 사실 동작하겠다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보다 운동 준비 전위가 500밀리초이상 먼저 올라가기 시작한다는 사실이다. 즉 여러분의 뇌는 여러분이 움직여야겠다고 의식적으로 생각하기 전에 활성화한다.
- P214

다행이건 불행이건 간에 힉스 보손은 규명되었다. 따라서 누가봐도 내 생각이 틀렸다. 하지만 이 모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나는 긍정주의자다. CERN에서 관측한 입자가 힉스 보손의 모든 특성을 다띤다는 사실을 입증하려면 확인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 남아 있다.
이 작업은 시간이 걸릴 것이고, 새로운 실험을 해야 하니 놀랄 일들이 벌어지리라고 예상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 입자가 만약 이론물리학자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전혀 다른 새로운 입자라면?
그렇다면 틀림없이 기초물리학 연구에 다시 활력이 돌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줄을 쓰는 지금 이 순간, 심지어 새로운 입자가 발견되었다는 뜬소문이 들리기에 아직 모든 희망이 가능성을 잃은 건아니다.
-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