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다양한 인구구성의 기원은 1494년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맺은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이 조약이야말로 유럽 식민주의자들이거의 알지 못하는 -물론 이 경우에는 아예 몰랐지만- 머나먼 곳에 임의로 선을 그은 초기 사례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들은 대양을 탐험하려고 서쪽을 향해 출발했고 유럽의 두 거대 해양 세력인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유럽 밖에서 땅을 발견하는 경우 서로 나누기로 약속했다. 여기에 교황도 동의했다. 나머지는 이 땅에 살았던 대다수 원주민들에게는 대단히 불행한 이야기다. 현재 남아메리카라 부르는 지역을 엉망으로 만들어 버렸으니 말이다.
- P193

1장에서 봤듯이 중국은 초강대국이 되려는 구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목표를 이루려면 무엇보다 자국의 상품과 해군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되 지속적으로 열려 있는 해상로가 필요하다. 파나마 운하는 중립적인 통로일지는 모르나 따지고 보면 결국은 미국의 호의에 기대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니카라과에다 운하를 직접 건설해 보는게 어떨까? 한창 커가는 초강대국이 5백억 달러쯤 쓴다고 해서 무슨대수겠는가.
니카라과 대운하 사업에 자금을 댄 인물은 왕 징이라는 홍콩 사업가인데 전기통신 사업으로 많은 돈을 벌었지만 건설 분야 경험은 없는 이 인물이 인류 역사상 가장 원대한 건설 사업의 지휘를 맡은 것이다. 왕징은 중국 정부가 이 사업에 대놓고 간섭하지 못하도록하는 단호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기업 문화나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정부가 개입하는 중국의 특성으로 볼 때 이는 흔치 않은 경우다.(2020 완공예정)
- P203

건설 사업에 지투자하는 것만큼이나 중국은 라틴아메리카 정부들에도 막대한 양의 돈을 빌려주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에콰도르가 주요 고객이다. 대신 중국은 대만을 포함한 영토 분쟁의 경우 유엔에서 이들 나라들이 자기편을 들어주길 기대할 것이다.
중국은 또한 사들이고도 있다. 미국은 유럽연합과는 지역 전체를대상으로 하는 상호 무역 힙상을 선호했으면서도 라틴 아메리카 나라들과는 개별적으로 무역 협정을 맺고 있다. 중국 역시 그렇게 하지만 적어도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그러면서 중국은 이지역 국가들이 미국은 물론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조금씩 줄여나가게 하고 있다. 그 한 예가 중국이 미국을 대신해서 최대 교역 상대국의 지위를 차지한 브라질 시장이다. 그리고 이런 판세는 조만간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도 목격될 것이다.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