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상실증 환자들은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진실인가 아닌가를 이해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언이는 상실했지만 감수성이 특히 뛰어난 그들은 찡그린 얼굴, 꾸민 표정, 지나친 몸짓, 특히 부자연스러운 말투와 박자를 보고 그 말이 거짓이라는 걸 알아차린다. 따라서 언어상실증 환자들은 언어에 속지 않으며 현란하고 괴상한(그들의 눈에는 그렇게 비친다) 말장난과 거짓, 불성실을 간파하고 반응을 보인다.
그래서 대통령의 연설을 들으면서 폭소를 터뜨렸던 것이다.
지금까지 말했듯이 목소리의 표정과 음색에 대해서 뛰어난 감수성을 지닌 인어상실증 환자에게는 거짓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렇다.
면 언어상실증 환자와 정반대의 증상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어떨까? 즉 단어를 이해하는 힘은 있지만 목소리의 표정과 음색에 대한 감각을 상실한 사람의 경우이다. 우리 병동에도 그런 환자가 몇 명 있었다. 전문적으로 말하면 그들은 언어 상실증이 아니라 일종의 인식불능증, 소위 음색인식불능증 환자이다. 말의 의미는 (나이가 문법구구조까지도)완벽하게 이해하지만 말투, 음색, 느낌, 음 전체의 성질 등 목소리의 표정은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다. - P149
고양 상태란, 단순히 건강하고 충실하고 만족스러운 기분을 뜻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지극히 불안하고 도를 지나친 상태가 되기도한다. 이 때문에 기행과 추악한 행위를 초래하는 일도 있다. 지나치게흥분한 환자는 통합과 억제를 잃은 상태, 어떤 종류의 과잉 상태에빠지게 된다. 그것은 충동과 이미지와 의지에 압도되는 상태이며 생리적인 광폭성에 사로잡힌(혹은 내몰린) 상태인 것이다.
이것은 성장과 생명 그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위험성이다. 성장은 지나치게 성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생명은 생명과다‘가 될 수도있다. 모든 항진 상태는 왜곡되어 묘한 방향으로 나아가 기괴한 이상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과다운동증은 이상운동증(비정상적인동작과 무도병舞蹈病, 틱 증후군 등)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인지력의 항진은 ‘이상인지‘라고 부르며, 병적으로 항진한 감각의 도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항진상태의 격정은 폭력적 격정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 - P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