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남게 된 나는 가슴이 죄어오는 것을 느꼈다. 이렇게 가슴 아픈 일이 있을까? 이렇게 기묘한 일이 있을까? 그의 인생이 망각의 세계에서 녹아내리고 있다고 생각하니 정말 어찌해야 할지 모를 지경이었다. 나는 다시 노트에 적었다. "그는 순간 속의 존재이다. 말하자면생각이나 공백이라는 우물에 갇혀서 완전히 고립되어 있는 것이다. 그에게 과거가 없다면 미래 또한 없다. 끊임없이 변동할 뿐 아무 의미
없는 순간순간에 매달려 있을 뿐이다." - P61

인간은 기억만으로 이루어진 존재는 아닙니다. 인간은 감정, 의지, 감수성을 갖고 있는 윤리적인 존재입니다. 신경심리학은 이런 것에 대해서 언급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학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이 영역에서 당신은 그의 마음에 영향을 미쳐 그를 변하게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P76

사물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그것이 너무도 단순하고 친숙하기 때문에우리의 눈길을 끌지 못한다(들 눈앞에 있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않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으로 탈구해야 하는 것은 그냥 스치 지나가는 법이다. -비트겐슈타인

비트겐슈타인이 인식론에 대해 쓴 이 구절은 생리학과 심리학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셔링턴이 ‘우리의 비밀스러운 감각 즉 제육감第六感‘이라고 부른 것에는 딱 들어맞는다. 제육감이란 근육, 힘줄, 관절 등 우리 몸의 움직이는 부분에 의해 전달되는 연속적이면서도 의식되지 않는 감각의 흐름을 말한다. 우리 몸의 위치,긴장, 움직임은 이 제육감을 통해서 끊임없이 감지되고 수정된다. 그러나 무의식중에 자동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할 뿐이다.
- P85

도대체 왜 그러시죠? 눈이 보이지 않는 겁니까. 아니면 술에 취한 겁니까?" 하고 물으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고유감각이 없어졌습니다." 하고 대답할 수 있을까? 그 누구의 동정과 도움도 받을 수 없다는 것. 이것 또한 가혹한 시련이다. 그녀는 장애인이지만 그것이 겉으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녀는 시각장애인도 아니고 신체가 마비되지도 않았다. 겉으로 나타나는 장애는 아무것도 없다. 따라서 종종 거짓말쟁이나 얼간이로 취급된다. 우리 사회에서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숨은 감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같은 취급을 받는다. - P98

 단 하나라도 좋으니 무언가 돌파구를 얻기만 한다면 (단 하나의 동작이라도 좋고, 지각이라도 좋고, 충동이라도 좋고, 최초의 한마디라도 좋다. 헬렌 켈러에게 ‘물‘이라는 한 마디가 그 역할을 했듯이 말이다.) ‘무‘였던 세계가 ‘전부‘로 뒤바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충동이야말로 모든 것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행동도 아니고, 반사운동도아닌 오직 충동이다. 충동이야말로 행동이나 반사운동보다 그 존재가 훨씬 명백하며 또한 좀더 신비적이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