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하나가 유럽을 떠돈다. 공산주의라는 유령이다. 낡은 유럽의 모든 세력, 교황과 차르, 메테르니히와 기조, 프랑스 급진파와 독일 경찰이 이 유령을 퇴치하기 위해 신성한 동맹을 맺고 몰이사냥에 나섰다.
정권을 잡은 상대로부터 공산주의적이라고 매도당하지않은 반대당이 어디 있으며, 자기보다 더 진보적인 반대파뿐만 아니라 반동적인 정적에게 공산주의라는 낙인을 찍으며 비난하지 않은 반대당은 또 어디 있겠는가?
- P14

 과거와 현재의 사회 모습이 다르고 현재와 미래의 사회 모습이 다를 것이기 때문에 역사라는 단어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 이유로, 사회의 ‘변화‘야 말로 역사의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사회의 변화를 가져올까요?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한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계급 사이에 벌어지는 모순과 갈등이 그 사회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보았습니다.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계급 사이에 서로 자신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투쟁‘
이 벌어지고 그 결과 사회가 변화합니다.  - P21

대외적으로 해외 무역이 성장하는 한편, 대내적으로 농업 생산력의 발전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17~18세기 영국에서는 새로운 농법이 도입되어 생산력이 발전했으며 상업화가 진행되면서 농민들의 소득이 증가했습니다. 농민들의 소득 증대는자연스럽게 소비재에 대한 수요의 확대로 이어졌지요. 매뉴팩처 방식으로는 폭증하는 대내외적 시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산 현장에 증기기관과 각종 기계장치들이 도입되었고, 기존의 수공업적 생산방식인 매뉴팩처가 기계제 대공업으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를 통해 현대부르주아 계급이 등장했습니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