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처럼 보여도 물가상승까지 감안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필요노동시간이 감소하면 노동자의 몫이 줄고 자본가의 몫이 늘어나므로 빈부 격차가 더 극심해지는 결과를 낳죠 과거와 비교해 빈부 격차가 심해졌다는 통계자료가 많은데요, 생산력 발전으로 인한 필요노동시간의 감소도 빈부격차의 심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 P139

다시 기술이 더욱 발달해서 이제 빵 1개의 교환가치가 1 노동시간이 되었다고 가정합시다. 하루 8시간 일하고 일당으로는 빵 2개를 받고요. 예전에 빵 1개 받을 때보다 삶의 질이 두 배로 나아졌죠. 하지만 필요노동시간은 오히려 2노동시간으로 감소했습니다.
빵 2개의 교환가치가 2노동시간이 되니까요. 반면 잉여노동시간은 6시간으로 늘어났습니다. 생활필수품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은, 노동자의 삶의 질이 ‘절대적으로 개선됨에도 불구하고 계층간의 ‘상대적 빈부 격차를 심화합니다.
- P143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이윤량을 창출하다
강사••• 물론 성과급제 도입 전과 후에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이윤율은 변하지 않더라도 이윤량은 변하거든요. 100명의 노동자가 예전에는 하루에 빵 800개를 생산했는데 지금은 하루에 빵 1250개를 생산합니다. 생산량이 증가하면 이윤율이 같더라도 이윤의 양은 당연히 늘어나죠. - P160

 하루 노동시간 가운데 필요노동시간이 많다는 것은 노동자 자신을위해 일하는 시간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거꾸로 잉여노동시간이많다는 것은 자본가에게 빼앗기는 시간이 많다는 의미죠.
마르크스는 이 구조를 살 보여줄 수 있도록 ‘착취율‘이란 개념을 고안했습니다. 잉여가치율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이렇게 생긴식입니다.
착취율=S/V
.....
착취율개념을 보면 노동자의 임금 몫과 자본가의 이윤 몫이 서로 대립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루 노동시간이 고정된 상태에서 임금이 오르면 필요노동시간이 증가하죠. 그러면 자본가 몫인 잉여가치가 감소합니다. 반대로 필요노동시간이 감소하면 잉여가치는 증가하죠.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