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성 해방은 선택과 통제에 관한 것이다. 즉, 학대와 정반대의 것이다. 오히려 섹슈얼리티와 관련해,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해 그동안 억눌린 생각들을 공개적으로 말하기 시작하자 억압적 행동에 도전하기가 더 쉬워졌다.  - P270

 자본주의는 성 개방 풍조와 여성의 성적 자유 증대를 흡수해서 이윤 창출에 활용하는 재주를 보여 줬다. 1960년대에 세계 전역에서 벌어진 대중적투쟁과 반란에도 불구하고 체제는 살아남았고, 이윤이 원동력인 사회는 투쟁의 성과들을 왜곡했다. 
....
기업들은 전에는 미처 몰랐던 성소수자들의 구매력을 활용하는 이른바 "핑크경제"를 창출했다. - P274

포르노는 여성 억압의 한 징후이지 그 근원이아니다. 여성은 가장 초기의 포르노 사진과 인쇄물이 대량생산되기 훨씬 전부터 억압받았다. 포르노를 검열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고 오늘날에는 그것이 가능하지도 않다. 특정 형태의 포르노, 예를 들어 폭력적 내용을 포함한 포르노를 금지하는 것은 그럴듯하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경찰, 공무원, 판사 등의 국가기관에 우리의 섹슈얼리티를 단속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면 그들은 그 권한을 이용해 자신들이 불온하다고 여기는 글과 이미지도 금지할 것이다. 그들은 성소수자의 글이나 심지어 안전한 성생활에 대한 구체적 조언들도 겨냥할 수 있다.아동 학대를 담은 포르노는 이미 다른 법령으로 금지돼있다. - P294

(롤리타 효과)의 저자는 "여학생들은 자신의 욕망이 언제나 위험하고 해롭다고 여겨지는 상황(그와 동시에 남학생들의 성적 관심을 끌도록 부추겨지는 상황)에서는 성관계에서 자신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배우지도 못한다"고 했다. 여성은 남성의 욕망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배우지만 자신의 욕망을 어떻게 계발해야 하는지는 배우지 못한다. 미국에서 10대 임신율은 금욕만을 강조하는 성교육이 최고조였을 때 가장 높았다. 오늘날 10대 임신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다. 더 우수한 포괄적 성교육이 더 많은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고 피임 기구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이 주요한 이유다. 연구자들은 "혼전금욕만을 장려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은 성관계를 중단시키거나 심지어 늦추는 데도 전혀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이 입증됐다"고 결론내린다.
- P2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