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희망은 노동운동 우리시대의 논리 2
하종강 지음 / 후마니타스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책이나, 영화를 보고 나서 가슴이 먹먹해진 나머지 머리가 공허해지고, 아무 것도 하기 싫어질 때가 있다. 오늘 이 책을 덮고 도서관을 나오면서 한참 하늘을 쳐다봤다. 외롭게 빛나는 별들이 몇 개 있었다. 탁한 서울의 대기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자신을 빛을 발하는 그 별들로 인해 어떤 사람들은 나처럼 기분 좋은 위안을 느낄 것이다. 집으로 돌아오면서 의미 있는 삶에 대한 생각을 했다.

이 책은 첫 글을 읽었을 때부터 심상치 않게 나의 마음을 흔들었다. 나름대로 ‘노동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들은 내 마음에 하나씩 하나씩 파장을 더해갔다. 그렇다고 그의 말투가 열정적인 것도 아니다. 그의 말투는 차분하고 소박하다. 노동운동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너무나 상식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너무나 비상식적인 이 땅의 노동현실을 얘기한다. 글을 읽다보면 그의 이러한 차분함이 ‘이성’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현장 방문을 통한 ‘가슴’에서 나옴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그의 차분함은 뜨겁고, 감동적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그의 강연에 대한 평가를 읽으면 그의 말도 글과 비슷함을 알 수 있다. “그의 강연엔 늘 그가 직접 겪은 그 생생한 ‘현실’과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 들어간다. 강의 처음부터 끝까지 그가 파업현장에서, 집회에서, 평범한 일상에서 노동자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겪은 고통, 울분, 저항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여러 감동들이 그의 나지막한 목소리로 전달된다.” 더구나 그가 한 달에 25~30회, 1년이면 3백 회 이상의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강연을 하는 막중한 노동시간의 노동자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그가 틈틈이 쓰고 말한 이 책의 글들은 더욱 진실하게 다가온다. 그래서 책상 앞에 앉아 공부한다는 게 한없이 초라하고, 부끄럽게 여겨진다.

언제부턴가 언론이나 지식사회에서 양극화 문제, 비정규직 문제, 빈곤 문제, 소득불평등 문제를 얘기하는 소리가 자주 들린다. 각종 통계수치, 그래프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얘기하지만 이러한 글들은 말하려고만 할 뿐, 현실의 목소리를 좀처럼 듣는 법이 없다. 객관성, 중립성, 방법론적 엄밀성을 보여주는 그러한 글들은 세련되긴 하지만 불편함이 없다. 그래서 문제제기에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고, 때론 비현실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긴 현실 자체가 비현실적이니 그러한 글들만 문제삼는 게 부당할지도 모르겠다. 가끔 이런 생각이 들곤한다. 사회는 점점 비참해지고 있는데, 그러한 사회는 좀처럼 보이지 않고 온통 내 주위엔 화려한 것 뿐이니 내가 있는 현실은 현실이 아닐지도 모르겠다고. 마치 매트릭스처럼 이 현실은 가상이고, 진짜 현실은 ‘보이지 않는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그런 나에게 이 책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보다 가깝게 보여주었다. 비참한 노동 현실에 꿋꿋이 저항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주었다. 읽고 나니 책임감마저 느껴졌다. 그들의 힘이 되어주지 못할망정,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사회적 폭력에 무관심한 시선으로 동조하지는 않겠다고. 노동자들의 삶을 감히 나의 짧은 지식으로 재단하지는 않겠다고.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 필자와 그의 글을 모아준 편집자에게 진실로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