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이 고인다
김애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말은 왠지 사람을 더 비참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다거나 없다거나 하는 것 보다도,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것보다도 더 근본적인 무엇이 있다. 연말은 희망이나 소망 같은 것들을 꿈꾸게 하지만, 정작 괴로운 것은 비루하고, 소소한 나의 삶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무엇도 내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주지는 못할 것이라는 점, 올 해의 내 삶도 그래왔고 내년의 내 삶도 그럴 것이라는 점이 연말의 나를 우울하게 한다. 하지만 그 우울함이 반드시 불행함은 아니다. 비루하고 소소한 일상 속에도 사랑도 있고, 웃음도 있고, 슬픔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상의 무서움이란 마치 큰 강물과도 같아서 그러한 감정들을 모두 보듬고 묵묵히 흘러간다는 데 있다.

 

 

최근에 친구의 소개로 김애란이란 작가의 두 권의 단편소설집(<달려라 아비>, <침이 고인다>)을 읽었다. 그녀는 이러한 일상의 무거움을 무겁지만은 않게 그려내고 있다. 내가 읽어본 작가 중에서는 김소진을 연상시킨다. 김소진이 주로 부모 세대를 배경으로 한다면, 김애란은 동시대 우리의 현재의 삶에 매우 근접해 있다. 내가 그녀의 소설에 더 공감하게 되는 이유는 그녀의 소설의 주인공들의 삶이 주로 중하층의 보통 사람들의 삶이라는 점이고, 그래서 그녀의 소설 속에서 나의 삶, 그리고 내 주변 사람들의 삶을 마주치게 되기 때문이다.

 

 

너무 남루하고 수더분해서 노트에서 찢어내어 휴지통에 구겨넣어 버리고 새롭고 깨끗한 페이지에 시작하고 싶을 때가 있는 것처럼 인생도 때론 내게 붙어다니는 것들을 좀 떼어내 버리고 새로운 페이지에 시작하고픈 마음이 생길 때가 많다. 하지만 인생은 결코 그렇지 못하다는 것, 설령 구겨서 휴지통에 버렸다 하더라도, 새로 시작할 때는 새로운 페이지가 아니라 휴지통에서 꺼낸 구겨진 페이지를 손바닥으로 문질러 펴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 그래서 더 안 좋은 조건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데 비극성이 있다. 인생은 결코 새로운 페이지에 시작하지 못한다는 것, 상처로 여기저기 찢어지고 더러워졌다 하더라도 바로 그 위에 자신의 미래를 그려나가야 한다는 데 인생의 어떤 잔인함과 진실성이 있다. 인생을 깨닫는 다는 것은 어쩌면 이러한 잔인함과 진실성을 그 자체로 받아들인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