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맨 첫 장을 읽고 잠시 책을 덮었던 것은 밀려오는 기억때문이었다.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점거에 잠입하여 취재하는 기자가 화자인 이 소설의 첫 장에는 ‘최루액’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것은 명백한 국가폭력을 의미한다. 소설 속에서 아시아문화전당을 점거한 시위대를 쫓아내기 위해 ‘최루액’을 이용했다. 점거하는 자들의 이유에 대해 아무리 생각하지 않는다하더라도 이것은 앞으로도 존재해야할 방식인가? 하물며 이 소설은 약 10년뒤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시점인데도 말이다. 2015년 5월 1일 노동절로 머릿 속은 돌아간다. 경찰은 시민들의 행진을 막고 차벽을 만들고 캡사이신 최루액이 섞인 물대포를 시민들에게 뿌렸다. 세월호 사건 1년이 지나 유가족들과 함께 진상규명을 하던 저녁밤이 그렇게 새벽까지 이어졌다. 그날 경찰들과 대치하던 시민들이 경찰의 공격으로 밀리면 뒤에 있던 사람들이 한 발자국 앞으로 나아갔다. 마침내 내가 앞에 섰을 때, 나는 경찰 대오 안으로 밀려들어가 넘어졌다. 그 잠시의 시간동안 나는 경찰들의 방패를 막던 ‘밖’에서 방패 ‘안’으로 경계지어졌고, 익명의 경찰들에게 온몸을 맞았다. 내가 아무리 당신들과 대치하는 것이라고 해도 이렇게 나를 짓밟을 권리나 이유는 대체 어디서 오는가. 발로 걷어차이고, 손으로 머리카락을 뜯기고 많은 욕설을 듣고 쫓겨나 울면서 걸었고 친구들을 만나 다시 부둥켜 안고 울었고 물대표를 맞으며 울었다. 이 책은 사회적 재난을 겪은 사회 속 시민들의 특히 예술 작업, 기록 작업으로서 작동하는 모습들을 그려내고 있다. 10년 후의 시간이 현재 시점은 소설은 경주의 원전사고를 배경으로 가지고 있는데, 과연 이 설정은 우리가 소설 속 허구라도만 치부할 수 있을까. 작가와 같이 나 역시 빗나가고 말았으면 하는 이 재난의 설정은 안타깝게도 우리에게 들이닥칠지도 모르는 불안의 가능성이 있다. 나는 이러한 이야기를 담는 소설을 만나 반가웠고 슬펐다. 그리고 그 재난과 다른 재난, 사건, 폭력들도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 있다. 나는 소설 속 금일이 사망된 것에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금일을 비롯해 두 명의 여성을 더 살해한 남성’이 ‘하필 금일을 죽인 데 어떤 의도도 없었다는‘ 그 말 자체가 의도라고 생각하고 이유라고 생각한다. 아무렇지 않게 사회정치적 소수자에게 향해지는 재난, 사건, 폭력들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