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골리앗>

 영국 만화가 톰 굴드의 대표작, 우두커니 앉아 있는 골리앗의 형상에서는 골리앗이 짓고 있는 표정이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너무나도 쉽게 자신을 다윗에 대입해 왔고, 골리앗은 그저 절대 악에 불과했다. 굴드의 만화는 과연 어느 쪽을 비추고 있을까. 모든 이야기는 우리가 알고 있던 사실이 흔들릴 때 태어난다. 이 만화는 어쩌면 우리에게 그 균열이 일어난 틈새를 보여줄는지도 모른다.

 

 

 

 

 

 

 

 <모스크바 일기>

 편지는 가벼운 종이 위에 무거운 펜촉으로 내리찍으면서 써나가는 것이다. 발터 벤야민은 유대인을 탄압하는 독일의 공기 속에서 누군가에게 편지를 써내려간다. 그게 농담 따먹기이든 진지한 이야기이든, 그 속에는 벤야민의 면모가 담겨 있다. 우리가 말로 하지 못하는 긴 속내를 써내려간 편지를 읽는다면, 독일 철학의 난제로 꼽히는 벤야민의 상실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해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앙드레 말로: 참나무를 쓰러뜨리다>

 앙드레 말로와 프랑스의 샤를 드골과의 대담집. 우리 나라 정치인과의 대담집도 제대로 읽지 않으면서 왜 외국의 대담집을 읽어야 하는지 되묻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감성과 이성, 문화와 정치라는 이분법적인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그 중간 지점을 찾기 위해 둘은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그러한 시도 끝에 프랑스는 나아졌는가? 설령 나아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오늘날까지도 그 시도는 포기되지 말아야 한다.

 

 

 

 

 

 

 <여론과 군중>

  타르드의 저서, 우리는 군중의 하나이지만 군중에서 예외인 것처럼 쉽게 생각한다. 군중이 여론을 형성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여론 또한 군중을 움직이고 형성한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모순에 대해 더 깊이 깨달아야 한다. 폭력이 일상화되고 내리찍는 압력이 점점 강해질 수록, 우리는 더 민감해지기 보다는 무뎌지고 있기 때문이다.

 

 

 

 

 

 

 

 

<불평등의 창조>

 우리는 모두가 함께 살아나갈 유토피아를 꿈꾸었는데 왜 불평등이 강화되는가. 선험적인 피와 신분에서 후천적인 자본에 이르기까지 불평등은 그 모습을 달리하면서도 똑같이 번복된다. 개인주의 주창과 다르게 불평등에 다들 굴복하라고 강요하는 전체주의적인 모순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불평등의 아주 단순한 단계, 그 시작까지 내려가 보아야 한다. 아직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어쩌면 우리는 다른 누군가를 자신의 곁에 종속시키기 위해서, 그가 혼자서 틀어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평등을 낳았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